
연세대 경제학 석사, 미국 미네소타대 경제학 박사, 전 미국 휴스턴대 교수, 전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실장, 현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이인실(64) 전 통계청장(현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은 인사를 나누자마자 ‘한국 경제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에 부닥쳤는지’를 말했다. 준비한 질문을 꺼내기도 전이었다. 그는 “과학과 문화, 인구구조에 걸친 복합적인 충격이 합쳐져 극심한 패러다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지금의 한국 경제가 과연 이를 극복할 수 있을지 자신할 수 없다”고 했다. 2011년 관직에서 물러나 학계에 머문 지 10년째지만, 여전히 현실 경제에 발을 담그며 자신의 경험을 나누고 싶어 하는 모습이었다.
이 전 청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경제학자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 통계청장을 지냈고, 국내 최대 경제학회이자 5000명의 회원을 거느린 한국경제연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경제연구학회 회장 취임 당시에도 그는 “현실 경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한국 경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민하고 조언하겠다”고 밝혔는데, 그때의 생각이 여전한 것처럼 보였다. 2020년 12월 28일 서울 신수동 서강대에서 이 전 청장을 만나 2021년 한국 경제 전망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
이 전 청장이 가장 심각하게 바라보는 문제는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이 사라졌다는 점이다.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010년 6.8%를 찍은 이후 2019년까지 2~3%대를 맴돌고 있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기 부진 탓에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당장 저성장에서 벗어날 묘책도 없고, 한국 경제의 약점마저 두드러지고 있다. 그는 “지난 10년간 저성장을 겪으면서 스트레스가 누적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 들어 재정의 힘으로 이런 상황을 버티면서 더욱 경제의 기초 체력이 약해졌다”고 했다...
이번주 인기 기사
-
애플이 자율주행차를 만든다는데 페라리 가격대로 출시?…‘애플카’를 둘러싼 說·說·說
-
[Interview] 美 배터리 스타트업 ‘실라(Sila)’ CEO 진 베르디체브스키 “테슬라에서 배운 도전 정신…배터리 재료 새 표준 노려”
-
[AUTO] 더 큰 SUV가 온다 길이 5m 넘는 대형 SUV 4종 출시…‘차박’ 열풍에 관심
-
[Interview] 정인교 인하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바이든 시대, 트럼프보다 더 센 美 우선주의…韓 기업 현지생산 등 대책 찾아야”
-
바이든 경제라인 키워드 ‘여성·인종 다양성’ 美 사상 첫 女 재무장관·첫 아시아계 USTR 대표
-
[최원석의 글로벌 인사이트 18] 다임러 감독이사회 의장에 오른 베른트 피셰츠리더 BMW·VW CEO 출신, 벤츠로 복귀…중대 변화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