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만 낳아 잘 기르자.’ 1970년대 국내 산아 제한 캠페인 포스터 문구다. 당시 이런 문구가 등장한 배경은 지나친 다산(多産)에 따른 빈곤 문제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후(戰後) 처음으로 1969년 한 해 출생자가 100만 명을 돌파한 100만5000명을 기록했다. 이어 3년 연속 연간 출생자는 100만 명을 넘었다. 이들은 ‘2차 베이비붐 세대(1968~76년생)’의 일부다.

그러나 30년이 지난 2019년 연간 출생자는 30만2676명으로 뚝 떨어졌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절벽(만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급격히 줄고 만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는 현상)은 한국의 거대한 고민거리가 됐다.

인구절벽이 유독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독일과 스위스·스웨덴 등 서유럽 국가들과 일본은 앞서 인구절벽을 겪었다. 나라마다 역사와 문화·사회 제도가 다른 만큼 다양한 방식으로 위기를 극복했다.

‘이코노미조선’은 한국산업인력공단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등의 관련 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앞서 인구절벽 위기를 넘겼거나 현재 극복하고 있는 4개국의 사례를 살펴봤다.

이들 국가는 각각 다른 방법으로 노동력을 늘림과 동시에..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