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력으로 새해 첫날인 2월 12일(이하 현지시각) 밤 중국 장시성 푸저우(撫州)의 여러 은행 지점 앞에 노인 수십 명이 긴 줄을 섰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중국판 카카오톡으로 불리는 위챗 애플리케이션(앱) 등에서 “마윈(馬雲) 알리바바 창업자가 60세 이상 노인 한 명당 훙바오(紅包) 200위안(약 3만4000원)을 지급한다. 사회보험 카드를 가지고 가면 돈을 받을 수 있다”는 소문을 듣고 몰려들었다. 붉은 봉투란 뜻의 ‘훙바오’는 세뱃돈, 축의금 등 경조사 때 쓰이는 돈이다. 2월 11~17일 춘제(春節·중국 설) 연휴인 중국에서는 은행 영업을 하지 않았다. 이를 알면서도 많은 사람이 근거가 확실치 않은 소문을 믿었던 것은 그간 많은 기업이 춘제 기간에 종종 훙바오를 뿌렸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소동으로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마윈의 위상이 건재함이 입증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럴 가능성은 미지수다.
앞서 마윈은 지난해 10월 24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와이탄(外灘)금융 서밋’에서 ‘전당포 영업’이란 용어를 써가며 당국 금융규제의 후진성을 비판했다가 수뇌부의 미움을 샀다. 이어 알리바바 산하 핀테크(fintech·금융과 기술의 합성어) 계열사인 앤트파이낸셜그룹(이하 앤트그룹)의 홍콩 증시 상장이 무산되는 등 당국의 강도 높은 제재에 직면했다. 외신들은 중국 당국이 진짜로 노리는 건 앤트그룹이 보유한 소비자 신용 정보라고 분석했다. 앤트그룹은 10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전자결제 앱 알리페이를 통해 고객의 소비 패턴, 대출 및 상환 이력 등에 관한 빅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앤트그룹은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의 관리·감독을 받는 금융지주사로 바뀔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월 27일 앤트그룹이 금융지주사로 변신하겠다는 사업개편안을 중국 당국에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향후 금융당국의 엄격한 관리·감독 및 규제를 받게 된다는 뜻이다...
이번주 인기 기사
-
메디톡스와 대웅제약의 美 ‘보톡스 전쟁’ 일단락 승기 잡은 메디톡스, 국내 보톡스 시장 재편시킬까
-
IPO 대어 ‘SK바이오사이언스’가 온다 바이오 양 날개 펴는 SK… ‘따로 또 같이’ 전략 통했다
-
바이든, 반도체·희토류 ‘反中 동맹’ 만든다 트럼프 시대 미·중 무역전쟁 反中 경제전쟁으로 전환 시동
-
플랫폼 전쟁 2.0 시대 스마트폰·AI 등장으로 ‘플랫폼 전쟁’ 본격화 산업 경계 붕괴 속 기업들 독자 생존 vs 협업 갈림길
-
이필상의 아시아 기업 전성시대 2 글로벌 합작 브랜드가 만든 중국의 車 생태계, 인재·부품 산업 키웠다
-
오디오 기반 SNS 대표들이 말하는 클럽하우스의 미래 박지연 소셜라디오 대표 “목소리 친밀감 대체 불가…오디오 기반 링크드인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