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태희 MSCI 한국 대표, 애리조나 주립대 선더버드 경영대 석사, 전 UBS와버그증권·SK증권 애널리스트, 전 시티은행 프라이빗뱅커, 전 프랭클린템플턴자산운용 기관 사업 책임자 / 사진 MSCI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 영국 애슈리지 경영대학원 MBA, 전 동방페레그린증권 지점장, 전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전 금융위 금발심 위원, 현 한국투자공사 운영위원, 현 공무원연금 자산운용위원 / 사진 서스틴베스트
왼쪽부터
김태희 MSCI 한국 대표, 애리조나 주립대 선더버드 경영대 석사, 전 UBS와버그증권·SK증권 애널리스트, 전 시티은행 프라이빗뱅커, 전 프랭클린템플턴자산운용 기관 사업 책임자 / 사진 MSCI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 영국 애슈리지 경영대학원 MBA, 전 동방페레그린증권 지점장, 전 국민경제자문회의 위원, 전 금융위 금발심 위원, 현 한국투자공사 운영위원, 현 공무원연금 자산운용위원 / 사진 서스틴베스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급이 평가기관마다 제각각인데, 도대체 뭘 어떻게 해야 합니까?”

ESG 경영이 화두지만 기업 관계자들은 ESG 평가 기관마다 기준이 달라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난감하다고 하소연한다. 가령 네이버는 MSCI(모건스탠리 캐피털인터내셔널)에서는 ‘A’등급을 받았는데 서스틴베스트에서는 ‘BB’ 등급을 받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4월 5일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전략 수립의 어려움을 설문조사한 결과 17.8%는 ‘기관별로 상이한 ESG 평가 방식’을 꼽았다.

기업의 ESG 성적표는 ESG 투자의 핵심 잣대다. ESG 인프라를 책임지고 있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으로는 MSCI, 서스테이널리틱스, 비지오 아이리스, 톰슨로이터 등이 대표적이다. 국내에서는 서스틴베스트, 한국기업지배구조원, 대신경제연구원이 활발히 활동 중이다. ‘이코노미조선’은 4월 6일 김태희 MSCI 한국 대표와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에게 ESG 평가에 대해 물었다.

김태희 대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ESG 정보가 재무정보처럼 의무 공시사항이 아니고, 기관별로 활용하는 정보의 종류나 범위가 다르다”며 “기관마다 적용하는 E, S,..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