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잭 클레어몬트대학원 신경경제학 연구센터 창립 이사 겸 사회과학대 심리·경영학 교수샌디에이고주립대 경제학·수학 학사, 펜실베이니아대 경제학 박사, 현 이머전 CEO,‘트러스트 팩터’ ‘도덕적 분자’ 등 저술
폴 잭 클레어몬트대학원 신경경제학 연구센터 창립 이사 겸 사회과학대 심리·경영학 교수
샌디에이고주립대 경제학·수학 학사, 펜실베이니아대 경제학 박사, 현 이머전 CEO,‘트러스트 팩터’ ‘도덕적 분자’ 등 저술

“효과적인 내러티브 스토리(이야기)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대신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덕분에 내러티브는 사람들이 느끼는 고립감, 외로움을 완화해 주기도 합니다. 봉쇄조치가 이어진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내러티브 효과가 더 커진 이유죠.”

신경경제학자인 폴 잭(Paul J. Zak) 미국 클레어몬트대학원 신경경제학 연구센터 창립 이사이자 사회과학대 심리·경영학 교수는 1월 11일 ‘이코노미조선’과 서면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고립되고 외로울 때 사회적 소통에 대한 욕구가 커지면서 고통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광고가 하나의 영상물로서 이 공허함을 채워줄 수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각 기업의 마케터들은 봉쇄조치를 소재로 다양한 내러티브 마케팅을 시도했다. 하지만 모두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잭 교수는 제대로 된 내러티브 광고만이 소비자 호응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비자의 호응을 얻을 내러티브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 우선 (제품이나 서비스, 광고를) 15초 이내에 사람들의 관심을 사로잡아야 한다고 했다. 또 브랜드 스토리는 ‘슬픔’을 담아야 할 필요는 없지만, 소비자가 겪고 있는 ‘어..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