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긴축 행보에 미 달러 강세가 나타나면서 각국 통화 가치가 맥을 못 추고 있다. 최근 1년간(5월 31일 기준) 달러 대비 한국 원화는 10%, 유로화와 일본 엔화, 중국 위안화는 각각 12%, 14%, 4.5%, 터키 리라화는 48% 절하됐다. 주요국 중앙은행은 달러 강세가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까 우려하면서 기준금리 인상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오는 7월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금리를 인상하기로 했다. 한국은행도 올 하반기 세 차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반적으로 환율이 오르면 수출이 늘어나고 수입이 줄어들어 무역수지가 개선된다. 이 때문에 무역 의존도가 큰 국가는 달러 대비 자국 통화 가치를 절하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기도 만테가 브라질 재무장관은 2010년 자국 통화 가치를 낮춰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방식의 정부 개입을 비판하며, 이 현상에 ‘통화 전쟁(currency war)’이라는 단어를 처음으로 붙였다.
그런데 최근 많은 국가가 자국 통화 가치를 낮추는 게 아닌, 자국 통화 가치를 높이려고 노력 중이다. 이른바 ‘역환율 전쟁(reverse currency war)’이다. 코로나19로 물가 급등세가 나타나자 자국 통화 가치를 높여서라도 수입품 물가를 낮추려는 의도다.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전 세계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횟수는 60건이 넘는다. 2000년대 초반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마크 맥코믹 TD증권 외환전략가는 “정책 입안자들이 더 높은 통화 가치, 인플레이션(이하 인플레) 압력 억제 정책에 환호하는 세계에 와 있다”라고 했다...
이번주 인기 기사
-
부동산 돋보기 서울 핵심 아파트 잔뜩 생산한 공유수면매립법
-
학원가로 변신한 마포 ‘제 2의 대치동’ 꿈꾸는 마포⋯학원가 임대료 1년 새 18% ‘쑥’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유럽 출장 후 경영전략회의 재개 반도체·AI·바이오 新먹거리 찾는 이재용 “기술 초격차” 강조
-
이스라엘 최고 정보부대 前 사령관 나다브 자프리르 팀8 창업자의 경고 “기업이 아무리 돈 써도 100% 보안은 없어…CEO가 직접 챙겨야”
-
[Interview] 74세에 수영복 표지모델 발탁 일론 머스크 母 “여성들이여 SNS에 써라, 당신이 얼마나 멋진지”
-
[르포] K바이오 프로젝트, 홍릉강소특구를 가다 “산·학·연·병원에 주거까지…기술·인력 키우는 클러스터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