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원자재·에너지값 상승에 전통적 원·달러 환율 변동에 따른 수혜 업종 옥석 가리기는 의미가 없어졌다. 지금처럼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가운데, 환율 변동성이 커졌을 땐 경기방어주나 채권 투자로 대응하는 게 유리하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6월 1일 ‘이코노미조선’과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윤 연구원은 채권·금리·환율 분석 전문가다.
보통 달러 강세로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원화 약세) 해외에서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수출 업종이 유리하다. 반대로 달러 약세로 원·달러 환율이 내리면(원화 강세) 달러 부채가 많은 해운·정유·항공 업종은 부채 감소로 반사 이익을 얻는다. 원재료 수입 비중이 높은 식품 업종과 원유 수입에 의존하는 정유 업종은 원화 강세 국면에서 비용 절감 효과가 있어 강세를 띤다. 여행 업종도 내국인의 해외여행 비용 부담이 줄어 여행객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혜 업종으로 꼽힌다. 그러나 최근 원자재⋅에너지값 상승으로 이 같은 일반론은 적용이 어려워졌다. 윤 연구원은 “최근 시장은 원·달러 환율 변동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변수와 함께 작용하고 있다”며 “하반기에 물가 상승세가 꺾이는지와 경기 침체가 올지 여부를 확인하고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조선경제아이 & economychosun.com
이번주 인기 기사
-
부동산 돋보기 서울 핵심 아파트 잔뜩 생산한 공유수면매립법
-
학원가로 변신한 마포 ‘제 2의 대치동’ 꿈꾸는 마포⋯학원가 임대료 1년 새 18% ‘쑥’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유럽 출장 후 경영전략회의 재개 반도체·AI·바이오 新먹거리 찾는 이재용 “기술 초격차” 강조
-
이스라엘 최고 정보부대 前 사령관 나다브 자프리르 팀8 창업자의 경고 “기업이 아무리 돈 써도 100% 보안은 없어…CEO가 직접 챙겨야”
-
[Interview] 74세에 수영복 표지모델 발탁 일론 머스크 母 “여성들이여 SNS에 써라, 당신이 얼마나 멋진지”
-
[르포] K바이오 프로젝트, 홍릉강소특구를 가다 “산·학·연·병원에 주거까지…기술·인력 키우는 클러스터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