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만7675t’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을 거치면서 국내에서 ‘국민 주류’로 손꼽히는 소주와 맥주를 제치고 와인이 가장 많이 수입한 주종 1위에 2년 연속 올랐다(2021년 기준). 와인 유통 채널이 확대되고 종류나 가격 면에서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서 ‘고급술’이라는 인식이 강했던 와인은 이미 대중화된 지 오래다. 여기에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을 가지 못하는 대신 식도락(食道樂)으로 대리만족하는 분위기, 가성비를 따지기보다 신선한 자극을 찾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반영되면서 과거에는 접하지 못했던 독특한 와인들도 국내에 많이 수입되고 있다.
국내 와인 수입 규모는 매년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와인 수입 규모는 2017년 2억1004만달러(약 2743억원)에서 2020년 3억3002만달러(약 4310억원), 2021년에는 5억5981만달러(약 7311억원)로 급증했다.
정하봉 한국국제소믈리에협회 수석 부회장은 “와인 수입 규모가 역대치를 달성한 이유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무궁무진한 선택지 때문”이라면서 “최근에는 와이너리의 철학과 스토리를 음미하며 마실 수 있는 ‘내추럴 와인(natural wine)’, 동유럽 등 생소한 지역의 와인 등도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조선’은 6월 15일 정 부회장과 와인 시장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인터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조선경제아이 & economychosun.com
이번주 인기 기사
-
부동산 돋보기 서울 핵심 아파트 잔뜩 생산한 공유수면매립법
-
학원가로 변신한 마포 ‘제 2의 대치동’ 꿈꾸는 마포⋯학원가 임대료 1년 새 18% ‘쑥’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유럽 출장 후 경영전략회의 재개 반도체·AI·바이오 新먹거리 찾는 이재용 “기술 초격차” 강조
-
이스라엘 최고 정보부대 前 사령관 나다브 자프리르 팀8 창업자의 경고 “기업이 아무리 돈 써도 100% 보안은 없어…CEO가 직접 챙겨야”
-
[Interview] 74세에 수영복 표지모델 발탁 일론 머스크 母 “여성들이여 SNS에 써라, 당신이 얼마나 멋진지”
-
[르포] K바이오 프로젝트, 홍릉강소특구를 가다 “산·학·연·병원에 주거까지…기술·인력 키우는 클러스터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