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검은 토끼의 해, 계묘년(癸卯年) 새해가 밝았다. 하지만 R(Recession·경기 침체)의 공포는 여전하고, 대내외 불확실성은 깊어지고 있다. 한국 경제는 어디로 갈 것인가. ‘이코노미조선’은 위기 속에서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 해외 경제 혁신 현장을 연중 기획으로 소개한다. 아시아의 허브(hub)로 부상한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인도, 인도네시아, 대만, 중동 등을 리포트한다.
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12월 1일 오전 9시 무렵 싱가포르 중심업무지구(CBD)는 출근길을 서두르는 사람들로 북적였다. 싱가포르 내 자산 2위 규모로 꼽히는 화교계 은행 OCBC, 싱가포르 투자은행 UOB, 중국은행(Bank of China)과 HSBC, 메릴린치증권 등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한데 모여 있는 이곳에선 현지인들만큼이나 사원증을 목에 건 유럽, 동남아시아계 외국인도 많이 눈에 띄었다. 거리를 걸어다니면 영어에 베이징어, 광동어, 베트남어가 한데 어우러져서 들렸다. 글로벌화한 도시 국가 싱가포르의 현주소를 한눈에 보여주는 장면 같았다.

싱가포르가 내실이 탄탄한 나라라는 것은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 면적이 부산광역시보다 조금 작고, 인구수(587만 명)가 서울 인구의 절반 정도에 불과한 작은 도시 국가지만, 싱가포르의 2021년 기준 1인당 국민소득은 6만4010달러(약 8300만원)로, 한국(4만7490달러)보다 높다. 1970~80년대 당시 경제 성장 가도를 달리던 한국·홍콩·대만 등과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싱가포르가 또다시 돈과 인재가 몰리는 아시아 중심지로 급부상(浮上)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여세를 몰아 글로벌 인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