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나 지금이나 가장 많이 화두에 오르는 것은 ‘부자 되기’다. 경제뉴스를 다루는 경제신문을 소수의 금융계나 산업계 종사자들만 보던 시절은 어느덧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이 돼 버렸다. 이제 종합지 경제면과 경제신문을 꼼꼼히 읽어야만 ‘부자 되기’에서 남들에게 뒤처지지 않는다. 게다가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에 맞는 재테크 서적이 쏟아져 나오는 것은 물론이고, 경제교육을 어릴 때부터 시켜야 한다며 어린이용 경제신문이나 경제교육 서적까지 발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제 ‘부자 되기’는 전 연령층의 ‘목표’인 셈이다.
SUPERRICH

나도 슈퍼리치 되고 싶다

2000년 초 국내를 강타한 것은 ‘백만장자’ 열풍이었다. 신드롬이라고 불릴 정도로 사회 곳곳에서 백만장자란 단어가 회자됐다. 백만장자가 되기 위한 재테크 지침서가 봇물처럼 쏟아졌고, 이중 여러 개는 베스트셀러로 등극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는 백만장자와 관련한 재테크 커뮤니티가 속속 생겨났다. 일부 직장인들이 백만장자를 목표로 창업 전선에 뛰어들기도 했다. 그 당시 로또 열풍이 우리 사회를 관통한 것은 또 다른 단면인 셈이다. 이러한 ‘부자 되기’ 열풍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지 지금도 전혀 바뀌지 않았다.돈 많은 부자를 표현할 때 흔히 쓰이는 백만장자는 금융자산을 100만 달러 가진 경우다. 백만장자, ‘millionaire’라는 단어가 등장한 것은 1920년쯤 미국이라고 알려져 있다. 당시 존 록펠러가 사상 최초로 100만 달러의 순자산을 보유하면서 언론에서 그의 부를 칭하는 말로 millionaire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된 것. 그 당시만 하더라도 100만 달러는 어마어마한 가치였으나 이제는 인플레이션으로 그 가치가 현저히 떨어졌..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