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민들의 대규모 귀농·귀촌은 이제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돼가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더욱 거세다. 한 달이 멀다하고 관련 서적이 출간되는가 하면 인터넷 이곳 저곳마다 귀농·귀촌 정보로 넘쳐난다. 귀농·귀촌을 전문적으로 컨설팅해주는 회사까지 생겨나고 있다. 정부도 정책 자금 지원으로 귀농·귀촌을 독려할 태세다. 그러나 귀농·귀촌은 도시에서 살아온 삶의 패턴을 완전히 바꾸는 일이다. 유비무환의 묘를 살려야 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요사이 귀농·귀촌이 하나의 사회 트렌드로 자리 잡은 것은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 출생자)들이 본격적으로 은퇴 대열에 합류하면서부터다. 이들은 도시화라는 새로운 사회 패러다임을 만들면서 경제 번영을 일군 고도성장기 우리 경제의 역군들이었다. 거대한 패러다임을 만들 막강한 군집영향력을 가진 이들이 도시로 밀려들면서 주거, 교통 등 도시화를 주도했다면 은퇴 역시 엄청난 사회변화로 이어질 조짐이다. 그중 하나가 귀농·귀촌 열풍이다. 아프리카와 북유럽국가 대사를 거쳐 지금은 지방 국립대에서 초빙교수를 지내고 있는 A씨는 내년 본격적인 귀농을 앞두고 현재 모 농업교육기관이 주관하는 귀농학교에서 구슬땀을 흘려가며 수업에 참여하고 있다. 이미 2년 전 시골로 내려와 귀촌생활의 매력을 만끽하고 있는 그는 강의가 없는 날에는 집 주변 텃밭을 가꿔가며 부인과 단란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오랜 시간을 해외에서 보낸 그는 자신의 터전에서 현대적이면서도 토속적인 농산물을 생산할 계획이다.

2011년 귀농·귀촌 인구 전년보다 두 배 증가귀농·귀촌 수요 증가는 통계상으로 잘 나타난다.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도시를 떠나 시골로 귀농·귀촌한 가구는 1만50..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