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공 : 홍대 트릭아이미술관
진짜일까? 가짜일까?
‘가짜’ 혹은 ‘모조품’, ‘눈속임’을 뜻하는 말을 ‘페이크(Fake)’라고 한다. ‘페이크 마케팅(Fake Marketing)’이란 그럴 듯하게 진짜처럼 꾸며낸 가짜를 형식으로 내세우는 기법을 말한다. ‘알고도 속는’ 즐거움을 주거나, ‘알고 보니 가짜’라는 반전 효과를 통해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대중을 기만하려는 나쁜 의도가 담겨 있다면 역효과를 주겠지만, 페이크 마케팅의 근간에는 기발함과 재치가 담겨 있다. 때문에 대중들은 일종의 ‘속는 즐거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들거나 때로 감쪽같이 사람들을 속게 만드는 페이크 마케팅 기법은 영화·광고·다큐뿐 아니라 미술·패션·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예술 분야에서도 페이크 기법을 활용한 작품이 하나의 장르를 차지하고 있다. ‘트롱프뢰유(trompe-l’œil)’라고 불리는 ‘눈속임 그림’이 그것이다. 실재(實在)와 같은 사실적인 묘사를 기반으로 한 트롱프뢰유는 미술 분야에서는 이미 그 역사가 깊다. 기발한 속임수로 대중을 유혹하는 페이크 마케팅의 세계로 들어가 보자.
ⓒ 조선경제아이 & economychosun.com
이번주 인기 기사
-
EDITOR’S LETTER ‘소리 없는 암살자’에 떨어진 한국 영화의 ‘별’
-
최인한의 일본 탐구 <19> 일본 1위 아웃도어 업체 몽벨 타츠노 이사무 회장 산악인에서 기업인으로 변신, 재무 안정 중시하는 ‘겁쟁이 경영’
-
부동산 돋보기 부동산 세금 제도가 바뀔 때 놓치지 말아야 할 것들
-
김진국의 심심(心心)파적 <23> “아리랑과 네순 도르마의 어색한 조합” 대통령 취임식의 심리학
-
[Interview] 캐서린 소 익스피디아그룹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무이사 “럭셔리 숙박 관심 높은 한국인, 일본인보다 여행에 더 적극적”
-
IT 기업에 도전장 내민 건설사들 돈 되는 데이터센터, 시공 넘어 임대 사업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