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에 대한 관심이 달아오르고 있다. 정부도 민간도 다문화사회를 대비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낸다. 하지만 이들의 시야에 농촌은 그다지 들어오지 않는다. 멀리 있어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농촌은 다문화사회의 최전선이다. 열 쌍 중 네 쌍이 국제결혼을 하고 있는 곳이다. 10년 후면 농촌 젊은이 중 절반이 다문화가정 자녀로 채워질 전망이다. 이에 대한 대비는 곧 우리 농촌의 생존과 직결될 수 있다는 의미다. 농협이 먼저 눈을 떴고 앞서 발걸음을 뗐다. 각종 지원사업을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1000여 명의 담당직원들과 수천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논둑과 밭길을 뛰어다니고 중앙의 전담부서는 정부와 기업의 협력을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재원이 넉넉하지는 않지만 농업인들과 돈독한 친밀감 특유의 성실함으로 농촌의 다문화가정에 소중한 변화를 일궈내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 농촌 다문화가정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하는 곳은 농협이 유일하다. 태어난 곳은 다르지만 앞으로 수백 수천 년을 함께 살아가야 할 다문화가정에 대한 농협인들의 따뜻한 가슴에 귀를 기울여봤다.

초기 정착에서 자생력 확대까지

물심양면 알뜰살뜰 후견

“당신도 우리입니다”

농촌은 지금, 농협은 지금

열 쌍 중 네 쌍이 국제결혼

농협, 다문화가정 지원 총력전

지난 11월18일 서울 홍은동의 그랜드힐튼 호텔에 200여 명의 여성농업인들이 모였다. 농림수산식품부(농식품부)와 농협중앙회(농협)가 마련한 ‘이민여성농업인 농업교육 워크숍’에 참가하기 위해서였다. 이들은 농식품부와 농협이 지난해부터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이민여성들을 위한 농업교육에 참가, 우수한 성과를 낸 이민여성농업인들이다. 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 등 태어난 곳은 다르지만 모두 한국의 주부, 한국의 농업인으로 거듭난 이들이었다.최근 들어 농촌의 이민여성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날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에 대한 대응의 일환이다. 농식품부는 물론이고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법무부, 여성가족부 등이 저마다 부처의 역할에 어울리는 정책을 도입하..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