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기업의 만남이 새로운 차원으로 진화중이다. 다름 아닌 ‘아트마케팅’으로 승화돼 소비자 사로잡기에 나서고 있다. 과거에는 기업의 문화예술 활동 지원이 대부분이었다. 즉, 비용을 후원하는 것이다. 문화예술을 통한 기업의 사회공헌 차원에서다. 용어는 ‘메세나’다. ‘기업전시’도 있다. 문제는 메세나나 기업전시의 한계다. 파급력이 제한적이다. 이제는 이 같은 방식이 전부는 아니다. 제품 자체의 디자인에 예술을 접목시킨 ‘디자인아트’와 광고에 예술적 요소를 넣은 ‘애드아트’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는 불특정 다수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고 파급력 또한 높다. 전자는 소극적이고 후자는 적극적 의미로 해석된다. 이 둘을 모두 아우르는 것이 아트마케팅이다. 요즘 아트마케팅이 시쳇말로 확실히 ‘떴다’. 최근에는 그 영역의 한계를 시험이라도 하는 듯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새로운 마케팅 기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아트마케팅의 속을 들여다봤다.

이미지도 개선하고… 매출도 오르고…

아트마케팅 “임도 보고 뽕도 딴다”

아트마케팅이 가장 폭넓게 이뤄지고 있는 것은 제품의 겉포장이나 케이스에 명화를 넣는 방법이다. 눈에 익은 명화를 광고에 이용해도 저작권상 문제는 없다. 현대 미술작품의 경우, 상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선 막대한 저작권료를 지불해야 하지만 명화는 제외다. 우리나라의 저작권법상 기본적으로 저작권자가 사후 50년 이상 된 경우 저작권료를 내지 않는다. 비용을 들이지 않고 법적 문제없이 품격 있는 제품 연출이 가능한 요인이다. 따라서 명화를 이용한 아트마케팅에 기업이 관심을 가질 만하다. 실제 디자인아트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예술성 상품을 선호하는 ‘아티젠(Arty Generation의 줄임말)’은 갈수록 증가하는 분위기다.명화 아트상품 전문제조업체 현석알피는 휴대전화 전용 명화 가죽 케이스로 눈길을 끌고 있다. 휴대전화 케이스를 고흐 <밤의 카페테라스>, 고흐 <별이 빛나는 밤>, 클림트 <키스>, 클림트 <메다프리마베시 초상>, 클림트 <생명의 나무>, 르느아르 <쟌느사마리>, 부그로 <첫 키스>..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