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는 햄버거 하나로 세계인의 입맛을 잡았다. ‘빅맥지수’ 라는 경제지표가 따로 있을 정도다. ‘빅맥’ 가격만 비교해도 각국의 구매력 수준이 파악된다는 얘기다. 글로벌 프랜차이즈의 힘이 실로 막강하다. 한국판 맥도날드를 꿈꾸는 토종 프랜차이즈들이 있다. ‘내수기업’이라는 딱지를 떼고 너도나도 해외로 진출 중이다. 글로벌 시장으로의 도약을 준비하는 프랜차이즈 업계를 둘러봤다.

프랜차이즈 해외 진출 현주소요거트∙학습지∙문구 등 ‘다양’현지 밀착 마케팅전략으로 ‘약진’



‘뚱뚱한’ 미국인들이 국내 음료체인 레드망고에 매혹됐다. 요거트와 생과일주스 등 저칼로리 디저트 제품에 제대로 ‘꽂힌’ 것. 할리우드 인기배우 리어나도 디캐프리오가 전용 제조기를 사갔을 정도다. 레드망고는 2007년 미국 진출 3년 만에 72개 매장을 확보했다. 미국만이 아니다. 찬 음료가 주력인 만큼 태국, 싱가포르, 남아공, 아랍에미리트 등 더운 나라에서도 잘 나간다. 이 회사는 지금까지 국내 매장의 세 배가 넘는 127개 해외 가맹점을 유치했다. 미용실 체인 이훈헤어칼라는 2003년부터 중국 시장 진출에 올인했다. 상하이 같은 대도시보다 내륙 중소도시를 공략했다. 매장 임대료도 저렴하지만 서민층 공략을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다. 회사 관계자는 “중국 내륙지방은 대도시와 달리 한국의 1970년대를 연상시킬 만큼 저개발 지역이 많다”며 “국내 스타일이 최첨단 패션으로 통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는 중국에만 125개의 가맹점을 두고 있다. 국내 프랜차이즈 업계의 ‘엑소더스’가 시작됐다. 국내 시장이 포화상태이기 때문이다. 프랜차이즈 가..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