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생산되는 농산물이나 국제 곡물 값이 급등하면 식탁은 당장 영향을 받는다. 농산물 등이 식탁에 오르는 데는 수급의 경제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식탁 밑을 들여다봤다.
상추는 밥상에 오르기까지 4단계의 유통과정을 거치며 소비자가의 65%가 비용으로 붙는다.
상추는 밥상에 오르기까지 4단계의 유통과정을 거치며 소비자가의 65%가 비용으로 붙는다.

우리나라 농축산물은 보통 4단계 이상의 유통과정을 거쳐 식탁에 오른다. 이렇다보니 실제 소비자들은 직판 가격보다 적게는 40%, 많게는 2배 이상 비싸게 구매하고 있다. 로컬푸드 직매장에서 750~850원에 팔리는 상추의 일반 소매가격은 1353원이다. 참외의 경우 직매장에선 10개에 7000원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일반 소매점포에선 1만6000원대에 판매되고 있다.2011년 조사된 주요 농산물 유통실태에 따르면 상추는 4단계의 유통경로를 거쳐야 식탁에 올랐다.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거래하는 비중은 5%에 불과했다. 농가에서 1521원(1kg)에 사들인 상추는 몇 단계의 유통과정을 거치며 소비자에게 4300원에 팔렸다. 소비자 가격의 65%가 유통비용인 셈이다. 다른 농축산물도 마찬가지다. 과일은 50%, 축산물은 46% 가량이 유통마진이다.소비자는 높은 가격을 지불하지만 농가가 받는 가격은 생산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가 손해를 보는 가운데 유통업체 배만 불리는 꼴이다.농산물 유통개선은 오랫동안 추진해온 농정의 고정 메뉴지만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채 농업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문제 해결은 간단하다. 유통단계를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