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기 디앤디파마텍 대표 성균관대 고분자공학과 학사, 광주과학기술원 석·박사, 존스홉킨스대 의대 부교수 사진 김명지 기자
이슬기 디앤디파마텍 대표
성균관대 고분자공학과 학사, 광주과학기술원 석·박사, 존스홉킨스대 의대 부교수 사진 김명지 기자

1월 28일 경기 판교의 디앤디파마텍 본사 회의실에 곱슬기 있는 머리에 검정 운동화를 신은 40대 남성이 들어왔다. 2014년 바이오벤처를 창업해 치매⋅알츠하이머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신약을 개발하는 이슬기(45) 디앤디파마텍 대표다.

이 대표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전설(레전드)’로 통한다. SCI급 국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이 130여 편이 넘고, 만 33세이던 2010년에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그해 과학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는 젊은 과학자에게 수여하는 ‘인디펜던스 어워드’를 수상했다.

성균관대에서 고분자공학을 전공한 그는 광주과학기술원 석·박사 등을 거쳐 30대 초반인 2008년 박사후 과정으로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미국 유학 4년 만인 2012년 존스홉킨스대 의대(존스홉킨스대) 부교수로 부임했고, 2017년에는 미국 정보분석기업 클래리베이트(전 톰슨로이터)가 작성한 한국인 상위 1% 연구자 명단(HCR)에 최연소로 이름을 올렸다.

촉망받는 과학자인 그가 2014년 바이오벤처를 창업했다. 퇴행성 뇌질환 분야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테드 도슨 존스홉킨스대 교수와 함께였다.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질환은 뇌 특정 부위에 도파민(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소실되면서 독성 단백질 찌꺼기가 쌓여서 생기는 병이다. 지금까지 치료제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수준인데, 이 대표는 뇌 신경에서 ‘청소부’ 역할을 하는 미세(微細) 아교세포가 활성화하면서 염증이 생기고, 이 염증이 뇌질환을 일으킨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 대표가 개발 중인 후보물질(NLY01)은 뇌 신경 염증 반응을 억제해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한다. 디앤디파마텍은 상장도 하기 전에 받은 투자금이 2190억원에 달한다. 페이팔 창업자 피터 틸이 설립한 옥타브라이프사이언스는 신약 후보물질의 가능성만 보고 이 회사에 570억원을 투자했다. 이 대표를 1월 28일 경기도 판교 디앤디파마텍 본사에서 만났다. 다음은 일문일답.


존스홉킨스대에서 ‘NLY01을 퇴행성 뇌질환에 적용해 보자’고 먼저 제안했다고 들었다. 사실인가.
“NLY01은 한국에서 아버지와 함께 만들어 낸 물질이다(그의 아버지는 이강춘 성균관대 약대 석좌교수다). NLY01의 첫 목표는 당뇨약이었다. 한국에서 박사를 마치고 2008년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로 유학을 가서도 당뇨약으로 연구를 했다. 그런데 2012년 합류한 존스홉킨스대에서 ‘이 물질은 파킨슨병 쪽으로 적용해서 개발해야 한다’는 제안을 받았다. 2013년에 파킨슨병에 이어 알츠하이머에도 치료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곧장 2014년 디앤디파마텍을 창업했다. 성공을 확신했나.
“그런 건 아니다. 2014년 12월 아버지가 계신 성균관대 약대 연구실 하나를 빌려 창업했다. 거기에서 연구를 거듭하며 물질에 대한 확신이 생겼고, 이후 존스홉킨스대 교수진과 공동 연구, 공동 창업에 나섰다.”

신약 개발에 원래부터 관심이 있었나.
“2012년 존스홉킨스대 테드 도슨 교수에게 NLY01을 소개했는데, ‘슬기야, 이건 논문을 내고 끝낼 일이 아닌 거 같다’라고 했다. 도슨 교수가 ‘제약사에 넘기지 말고, 우리가 빨리 개발해서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자’고 말한 것에 마음이 움직였다.”

테드 도슨 교수와 같은 세계적 석학에게 인정받은 비결이 있나.
“그저 연구에 매진하고 실험실에서 일하는 연구자였는데, 내가 개발하는 물질에 관심 가져주는 사람이 존스홉킨스대에 많았다. 동양인 신출내기 부교수는 말도 못 섞을 거물들이 내 연구를 보자마자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데, 무엇을 도와줄까’라고 물어왔다. 10~15년 걸려야 나올 수 있는 연구가 그분들의 도움으로 세상에 나왔다.”

한국인으로 존스홉킨스대 교수로 부임한 것도 남다른 일이다.
“미국에서 나 같은 사람을 코리안-코리안(Korean-Korean⋅완전 토종 한국인)이라고 부른다. 존스홉킨스대에는 전 세계 내로라하는 의사들만 있다. 그러니 부임하기 전에는 두려움이 많았다. 그런데 막상 가 보니 다 똑같은 연구자더라.”

약대 교수인 아버지 영향도 있었나.
“존스홉킨스대에서 첫 스카우트 제안이 왔을 때 다른 사람들은 주립대로 가서 편하게 연구하라고 조언했다. 그런데 아버지는 ‘존스홉킨스대로 가는 것이 절대적으로 맞다’고 했다. 최고의 석학들 사이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라고 했다. 지금도 아버지는 그때 얘기를 하면서 ‘내 말을 안 들었으면 네가 지금 도슨 교수 같은 사람과 말이나 섞어 봤겠니’라고 농담을 하신다.”

디앤디파마텍을 두고 ‘거물급 신인’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데, 연구 과정을 보니 업력이 꽤 길다.
“국내에는 우리 회사가 3~4년 만에 빠르게 성장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하지만 투자 유치 성공 전에 12년가량 연구하고 닦아온 길이 있다. 사업 초기 엔젤투자 유치는 너무 어려웠다. 10만달러(약 1억2200만원)의 특허 비용을 마련하려고 투자자들 앞에서 몇 시간 프레젠테이션을 했다.”

우여곡절이 많았나.
“디앤디파마텍에는 최고과학책임자(CSO)인 빅터 로슈케 박사가 있다. 로슈케 박사는 휴먼 지놈사이언스, 테바 파마슈티컬즈 같은 글로벌 빅파마(대형 제약사) 출신으로 신약 개발에 경험이 많은 분이다. 그런데 이런 분에게 창업 후 4년 동안 월급을 못 드렸다. 초기 투자금이 들어오면 무조건 연구개발(R&D)에 집어넣었다. 특허도 300개 넘게 출원했다(디앤디파마텍의 특허 227건이 등록됐거나 심사 단계에 있다). 지금에야 이 특허들이 회사의 훌륭한 자산이지만, 특허 비용 때문에 변호사들한테 독촉 전화도 많이 받았다. 오죽하면 아내 몰래 미국에 있는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까 생각도 했다.”

지금은 여유가 좀 생겼나.
“미국 사무실도 단칸방으로 시작했는데, 지금은 1층에 노바백스가 입주한 건물 3층 전체를 쓴다. 물론 지금도 가시밭길이다. 하하.”

NLY01의 경쟁자는 없나.
“다른 회사가 개발하는 치료제를 경쟁자라고 보지 않는다. 오히려 큰 틀의 협력자라고 본다.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 같은 퇴행성 뇌질환은 메커니즘이 너무나 복잡해서 대부분의 연구가 ‘현재 진행형’이다.”

경쟁자가 아니라 협력자라는 말이 이해되지 않는다.
“다양한 기전의 다양한 약물이 임상 시도되고 있고, 그것이 맞는 방향이라고 본다는 뜻이다. 전 세계 70대 고령층 4명 중 1명은 파킨슨, 초기 알츠하이머, 치매를 앓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잠재 시장은 엄청나다. 앞으로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도 ‘항암제’처럼 여러 약을 섞어 쓰는 ‘병용요법’이 대세가 될 것이다.”

NLY01은 미국에서 초기 파킨슨병과 알츠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상을 마무리하고, 지금은 약 240명 정도의 환자 규모로 임상 2상을 하고 있다.

이 대표는 “투자자 중에 알츠하이머 환자도 있다”며 “사명감이 있다”고 말했다. NLY01은 초기 환자가 대상이기 때문에, 그 투자자는 자신이 투약 대상이 아니란 걸 알고 있었다고 한다. 이 대표는 “그분이 투자 서명을 할 때 떨리던 손을 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