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수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 가톨릭대 의대 졸업,  가톨릭대 정형외과 석·박사, 미국 컬럼비아대 뉴욕  장로교 병원 연수 사진 전효진 기자
김양수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 가톨릭대 의대 졸업, 가톨릭대 정형외과 석·박사, 미국 컬럼비아대 뉴욕 장로교 병원 연수 사진 전효진 기자

작년 말 특별사면된 박근혜 전 대통령이 3월 24일 병원에서 퇴원해 5년 만에 국민 앞에 섰다. 박 전 대통령은 ‘국정 농단 사건’으로 2017년 3월 수감된 이후 여러 병고에 시달렸다. 지난 2019년 9월에는 서울성모병원에서 어깨 수술을 받고 78일 동안 입원했다. 어깨 관절 부위를 덮고 있는 근육인 회전근개가 파열돼 왼쪽 팔을 거의 사용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 당시 어깨 수술을 직접 집도한 김양수 서울성모병원 교수는 박 전 대통령 수술에 대해 “수술 없이 (소염진통제 등을 사용하는) 보존적 치료만으로는 힘든 상태였다”고 말했다. 그 정도로 수술이 급했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또 “어깨 질환은 대부분 많이 써서 생기는 병이지만, 체질적으로 어깨가 약한 사람이 있다”고 말했다. 

어깨 관절은 나이가 들면서 염증이나 통증이 생기기 쉽다. 인체 구조에서 팔을 올리고 돌리고 하는 과정에서 어깨뼈와 힘줄이 부딪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렇게 생긴 통증을 초기에 잡지 못하면 병이 나빠져 만성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어깨 관절과 관절경 부문 권위자인 김 교수는 다수의 학술상을 받았다. 해외에서도 활발한 연구와 학회 활동을 하고 있다. 김 교수는 프랑스 견주관절학회에서 어깨 관련 수술법 강연을 한 첫 한국인이기도 하다. 

김 교수를 4월 6일 서울성모병원에서 만났다. 김 교수는 “최근 골프 인구가 늘면서 어깨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도 급증세”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가톨릭대 의대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 뉴욕 장로교 병원(New York Presbyterian)에서 연수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수술 당시 상황을 말해줄 수 있나.
“의사가 환자에 대해서 얘기하는 건 적절치 않다. 다만 (그 당시) 여러 보존 치료 끝에 수술한 것은 맞다. 지금은 다 좋아진 것으로 안다.”

회전근개파열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유는 여러 가지다. 회전근개파열은 어깨 힘줄이 끊어지는 것이다. 대부분 회전근개파열 환자의 원인은 다쳐서(외상)가 아니라 퇴행성이다. 다쳐서 오는 사람은 10명 중 1명 정도다. 체질적인 면도 있다. 어깨를 그만큼 많이 써서 생긴다고 봐야 한다.”

최근 어깨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크게 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보면 최근 10년 사이 어깨 질환 건수가 매년 10% 이상 증가했다.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병원을 찾는 사람이 늘어난 것 같다. 과거 먹고 살기 힘들 때는 어깨가 아프다고 병원을 찾지 않았다. 어깨 통증 정도는 대부분 진통제 맞고 참는 수준이었다. 그런데 요즘은 그렇지 않다. 골프 등 레저 인구가 크게 늘었는데, 어깨가 아프면 운동하기가 힘들다.”

회전근개파열은 수술을 반드시 해야 하나.
“개인적으로 수술은 가장 마지막 카드라고 본다. 하지만 보존 치료에도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증상을 완화시켜 안 아프게 하는 대증 치료가 있고, 근본적 치료도 병행하는 보존 치료가 있다. 지금까지는 소염진통제와 스테로이드를 주입해 환자가 아프지 않고 지낼 수 있는 대증 치료가 발달했다.”

수술 없이도 근본적 치료가 가능한가.
“내가 진료한 200명의 회전근개파열 환자를 2년 동안 자기공명영상(MRI)을 찍어 추적 조사했더니, 이 가운데 24%는 힘줄파열의 정도가 나빠졌다. 그런데 67%는 그대로 유지됐고, 6.8%는 상태가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만히 놔두기만 해도 6.8%는 끊어진 힘줄이 붙었다는 것이다.”

사람 힘줄은 저절로 붙지 않지 않는가.
“그건 맞다. 의대 교과서는 지금도 힘줄은 저절로 붙지 않는다고 가르친다. 하지만 그건 10년 전 얘기다. 3년 전부터 어깨 힘줄에 콜라겐을 직접 주입하는 치료를 시도했다. 힘줄의 90%가 세포외기질이라는 데 착안했다. 세포 조직은 세포와 세포외기질로 나뉘는데, 콜라겐은 세포외기질에 해당한다. 콜라겐이 세포 주변을 감싸는 집이 되도록 만들어 보자는 데 착안했다.”

그래서 효과는 어떻게 나왔나.
“파열된 힘줄에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때 6.8%가 좋아진다고 했는데, 콜라겐을 주입했더니 37.6%의 환자가 상태가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콜라겐 주입 이후 2주 동안 주사를 맞은 부위에 통증이 있었다.” 

주사를 맞았는데, 오히려 더 아프면.
“그래서 환자들에게 주사를 맞고 통증이 있을 수 있다고 미리 말하고, 시술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시험 삼아 내 팔꿈치에 주입해 봤는데 뻐근한 게 꽤 아팠다.”

콜라겐 주입 아이디어는 어떻게 얻었나.
“통증과 병변의 악화가 비례하지만 어깨는 그렇지 않다. 부분 파열보다 완전 파열 시 덜 아프다. 아예 파열돼 버리면 움직이지 못하니 통증이 줄어드는 것이다. 또 너무 아파서 스테로이드를 맞으면 통증이 사라지니 다 나았다고 생각하고 병원에 오지 않는 환자도 많다. 문제는 이런 경우 실제 병환은 나빠진 경우가 많았다는 점이다. 그래서 근본적 치료를 계속 고민했다. 콜라겐은 성형외과 등 여러 분야에서 쓰이고 있다. 그러니 어깨에도 한번 써 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해외에서도 이런 기법이 쓰이고 있나.
“콜라겐 주입은 한국에서 가장 먼저 시작했다. 해외에는 인체에 직접 주입할 수 있는 콜라겐 제품이 아직 없는 것으로 안다. 해외에서 쓰려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아야 한다. 한국은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 미국도 이르면 올해나 내년쯤 (허가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어깨 질환 치료는 어느 나라가 발달했나.
“어깨 분야 치료가 발달한 대표적인 국가로 프랑스, 오스트리아, 미국 등이 꼽힌다(김 교수는 미국 컬럼비아대학에서 연수를 받았다).”

해외 대학에서 강연도 많이 한 것으로 안다.
“2017년 첫 발표한 이두근 재배치 수술법으로 해외 초청을 많이 받았다. 2020년 2월 15일 프랑스 학회에도 강연을 다녀왔다. 프랑스는 정형외과 어깨 분야에서 글로벌 1위인 나라다. 아마 한국 사람으로는 처음으로 강연한 것으로 안다.”

해외에서 배우겠다고 오는 의사들도 있나.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의사 네 명이 우리 병원에서 펠로우 연수를 받고 있다. 한 해 두 명씩 1년 연수 프로그램으로 받는데, 2020년 코로나19로 연수가 중단돼 작년에 네 명이 한꺼번에 오게 됐다.”

한국 의료가 좀 더 발전하려면.
“수가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다. 미용실 원장님도 실장보다는 더 받는데, 병원은 다르다. 특진비가 폐지되면서, 대학 교수 진료비나 펠로우 진료비나 다 똑같다. 이건 좀 이상하지 않나.”

어깨 질환 환자들은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은 사람들이 많다는데, 진료비는 어떤가.
“동일하다. 중견기업 회장님도 진료를 본 적이 있다. 부모님을 모시고 오는 유명 연예인도 여럿 있다. 하지만 이런 사람도 진료비는 다 똑같이 받는다. 대신 치료가 잘됐다고 거액을 기부하는 경우는 있었다. 하하.”

의사들에게 해 주고 싶은 말이 있나.
“없는 길을 시도해야 한다. 한국 의사들은 정답에 너무 익숙해져 있다. 하지만 ‘정답’은 과거의 경험에서 나오는 것이다. 정답을 찾는 것만으로는 안 된다. 계속 남들 뒤만 따라가 봤자 이인자에 머물 수밖에 없다. 전혀 다른 문법과 길을 만들어야 한다. 헛된 길로 기억될지라도 그렇게 시도하는 것이 1등이 될 수 있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