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현재 서울대의대 교수 서울대 의대 학․석․박사,현 대한심장학회 학술이사,전 미 듀크대 의대 교환교수 사진 김명지 기자
강현재 서울대의대 교수 서울대 의대 학․석․박사,현 대한심장학회 학술이사,전 미 듀크대 의대 교환교수 사진 김명지 기자

올해 4월 미국심장학회(ACC)의 아시아 2022 춘계학술대회가 경북 경주에서 열렸다. 미국심장학회가 아시아에서 학회를 연 것은 2020년 싱가포르가 처음이고, 코로나19로 2년여 만에 열린 두 번째 회의 개최지가 한국이었다. 30여 년 전만 해도 국내 순환기내과 의료진은 ACC 학회에 초청받으면 동료들과 축하 잔치를 했다고 한다. 그만큼 한국 의료의 글로벌 위상이 달라졌다.

이번 학술대회의 큰 주제는 ‘코로나19’였다고 한다. 하지만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으로 지목된 심근염 등에 대한 논의는 일부였고, 그 대신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격리로 사람들의 생활 패턴이 갑자기 바뀌면서 수년 후 심혈관 질환자가 급증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대한심장학회 학술이사를 맡은 강현재 서울대 의대 순환기내과 교수는 “영양 상태는 그대로인데 활동량이 줄면서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비만 및 대사증후군 인구가 늘어났다”라며 “몇 년 후에 전 세계적으로 심혈관 질환자가 갑자기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그는 “(한국의 경우) 고령화와 맞물려 더 위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특히 “(한국 사람은)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달리 고지혈증은 덜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허혈성 심질환(ACS) 환자 발생률이 늘고 있다고 한다. ACS는 심근경색을 포함해 심근경색으로 갈 위험도가 높은 심장 질환을 뜻한다.

강 교수는 “심혈관 질환은 여러 상황이 모두 맞물려 있기 때문에 하나만 관리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라며 ‘최장수 건강 국가’로 꼽히는 일본의 사례를 들었다. 일본의 심혈관 질환 사망률은 세계 최저 수준이었다. 그런데 얼마 전 전 세계 심혈관 질환 사망률에서 일본이 한국을 역전했다고 한다. 한국이 상황이 개선된 게 아니라 일본 상황이 악화된 탓이다.

강 교수는 “일본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 관리 교육 및 체계가 조밀하고 체계적으로 갖춰져 있었는데, 몇 년 전부터 (재정 문제 등이 겹치면서 상황이) 나빠졌다”라고 설명했다. 사회 정책 변화가 국민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강 교수는 “이런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라고도 했다. 서울대 의대를 졸업해 같은 학교에서 전문의와 박사를 마친 강 교수는 미국 듀크대 의대에서 임상의학으로 교환 교수를 지냈다. 심장학 분야 세계적 석학인 김효수(서울대 의대 순환기내과 교수) 대한심장학회 이사장의 제자로 김 교수 팀에서 심근경색 환자의 사망과 심부전을 예방하는 심근경색 세포 치료법을 연구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한국의 심혈관 질환 사망률은 아시아 지역 평균 대비 10%가량 낮다고 들었다. 그렇다면 안심해도 되는 상황 아닌가.
“국내 심혈관 질환 관리가 세계적인 수준인 것은 맞는다. 하지만 혈관 질환은 여전히 국내 사망 원인 2위에 달한다. (한국 사람은)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달리 고지혈증(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경우)은 덜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투약을 시작하더라도 일시적으로 수치가 일단 개선되면 임의로 중단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거기에다 최근 ACS 환자 발생률이 늘고 있다.”

ACS라는 게 뭔가.
“심근경색을 포함해서 심근경색으로 갈 위험도가 높은 심장 질환을 통칭한다. 급성관동맥 경화증도 이 중 하나다. 혈전이 생겨 혈관이 막히면 피가 통하지 않고 심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사망에 이른다. 협심증은 나이, 비만, 당뇨, 고혈압에 영향을 받는다.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생활 및 식습관 교육을 통해서 2000년대 초반부터 협심증 사망률이 줄어들기 시작했는데, 한국은 지금이 늘기 시작하는 시점이다.”

원인이 있나.
“심혈관 질환을 ‘선진국병’이라고 부른다. 산업화를 거치면서 배도 나오고, 당뇨도 생기고, 혈압도 올라가고, 고지혈증도 늘어나는 등,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란 것이다. 하지만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대국민 교육과 관리를 통해 생활 습관을 개선했고, 그 결과 사망률이 줄고 있다. 한국도 비슷한 추세다. 심혈관 질환 전체 사망자는 늘고 있지만, 나이나 성별을 고정하면 사망률은 줄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로 병이 있는 사람은 늘고 있다.”

강 교수는 “나이가 들면 이런 병(심혈관 질환)에서 벗어나기 힘들다”고도 말했다. 심혈관 질환은 여러 만성 질환이 맞물려 있다. 중성지방은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LDL) 콜레스테롤은 증가시키고, 좋은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고밀도(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낮춘다. 저밀도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면 고지혈증으로 발전한다. 인슐린 분비에 문제가 생기는 대사 질환은 다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증가로 이어진다. 그래서 어느 한 수치만 관리한다고 해서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을 완벽하게 막을 수 있는 건 아니라고 한다.

그렇다면 최장수 국가인 일본의 심혈관 질환 현황은 어떤가.
“일본은 한국보다 생활 습관 측면에서 건강한 사람이 많다. 식습관도 상대적으로 건강하다. 생활 패턴도 우수하다. 한국처럼 차를 몰고 다니지 않는다. 외식 물가가 비싸서 집에서 해 먹는다. 의료 시스템도 잘돼 있고, 의료에 대한 신뢰도가 높다. 의료 자율성이 높아서, 어떤 병원에서는 이틀이면 퇴원해도 될 만성 질환 환자를 2주간 입원 치료한다. 그리고 잘못된 생활 습관까지 싹 뜯어고친다. 그런데 일본의 상황이 몇 년 전에 확 나빠졌다. 지금은 (심혈관 질환 사망률이) 한국과 비슷하거나 한국보다 오히려 조금 높다.”

원인은 뭔가.
“고령화도 영향이 있겠지만, 의료 급여 기준이 엄격해지고 재정이 악화하면서 관리가 허술해진 것이 원인이 아닌가 추정한다. 일본이 그전까지만 해도 환자 교육이나 지역 의료 시스템에 한국보다 훨씬 많은 금액을 투자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안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비해야 하나.
“예방이 중요한데, 만성 질환의 경우 본인이 관리하지 못한 개인적 문제라고 인식되다 보니 국가 정책으로 제대로 다뤄지지 않는 측면이 있다. 예방 측면을 떠나서, ACS와 뇌졸중으로 사망하는 많은 환자가 합병증으로 오랜 기간 병상에 있다가 사망하기도 하지만 심근경색, 뇌졸중처럼 급성기에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이 환자들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응급실에 찾아온 환자를 살려내야 한다는 뜻인가.
“그것도 맞지만, 환자를 빨리 응급실에 보내는 것부터 해야 한다.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전조 증상이 나타난 후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안에 병원에 도착하면 의료진이 어떻게 손을 쓸 수 있는데, 그렇게 도착하는 사람이 3명 중 1명도 안 된다.”

앰뷸런스의 문제인가.
“그게 아니다. 몸이 아픈데, 병원에 갈까 말까 고민하는 것이다. 병원에 제시간에 도착하는 환자 3명 중 1명만 119를 타고 온다. 증상을 느끼고 병원에 가야겠다고 판단하는 사람도 적고, 병원에 가장 빨리 오는 방법을 아는 사람도 적다는 뜻이다. ‘전조 증상이 나타나면 망설이지 말고 병원부터 가라’고 꼭 말하고 싶다.”

전조 증상은 어떤 것들이 있나.
“흉통이 가장 대표적이다. 심근경색의 경우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심한 흉통이 갑자기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식은땀이 나거나 목이나 등이나 왼쪽 팔 쪽으로 통증이 번져 나가면 심근경색일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