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폴크스바겐 본사 공장. 사진 블룸버그
독일 폴크스바겐 본사 공장. 사진 블룸버그

독일 폴크스바겐이 중장기 전기차 배터리 전략을 통해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주력 제품인 파우치형 대신 각형 배터리를 채택하겠다고 발표했다.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주도해온 한국 배터리 업계는 비상이다.

폴크스바겐은 3월 15일(현지시각) 배터리데이를 열고 오는 2023년부터 각기둥 모양의 새로운 배터리셀을 도입해 2030년까지 모든 전기차의 80%에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회사는 규격화된 셀과 공정 시너지를 통해 배터리 제조 단가를 10년 내 최대 50% 낮추겠다고도 했다. 세계 전기차 2위 업체인 폴크스바겐은 한국 배터리 기업들의 주요 고객이다. 폴크스바겐은 2030년까지 전기차 약 2600만 대, 하이브리드 자동차 약 700만 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배터리는 크게 세 종류가 있다. 원통형 배터리는 테슬라가 쓰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중국에서 많이 쓴다. 이 때문에 폴크스바겐이 향후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각형에 집중하기로 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각형 배터리를 주력으로 하는 중국의 CATL이 폴크스바겐의 핵심 파트너로 부상했다는 분석도 있다. 국내 삼성SDI도 각형 배터리를 생산한다. 다만,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등은 같은 무게에서 에너지 밀도가 높은 파우치형을 쓴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그동안 폴크스바겐으로부터 상당량의 파우치형 배터리를 수주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특히 폴크스바겐은 스웨덴 배터리사 노스볼트와 스웨덴 등 유럽에 6개 배터리 공장을 지어 전기차 300만 대에 탑재할 수 있는 연 240 규모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겠다고도 했다. 이는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 전체 생산량의 두 배다. 폴크스바겐은 노스볼트의 지분 20%를 가지고 있다.

이번 폴크스바겐의 전략 변경으로 다른 자동차 업체도 배터리 내재화 전략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박연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CATL이 아직 품질 경쟁력이 한국 배터리보다 낮고, 노스볼트는 품질과 원가 모두 열위에 있다”며 “하지만 폴크스바겐이 공급 안정성과 공급망 통합을 더 중시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차세대 배터리를 유럽이 이끌어가겠다는 신호로 봤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갈등이 배터리 공급망 안정의 중요성을 부각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지난 2월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간 전기차 배터리 영업 비밀 침해 소송에서 LG 측 손을 들어주며 SK이노베이션에 대해 제한적으로 10년 수입금지 조치를 내렸다. 폴크스바겐은 이번 소송으로 2년 후 SK이노베이션 대신 다른 배터리업체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 같은 조치가 공공의 이익에 저해된다고 판단될 경우 거부권을 4월 10일(현지시각)까지 행사할 수 있다. 3월 16일 LG화학 주가는 7.76%, SK이노베이션은 5.69% 떨어졌다. 삼성SDI는 0.87% 하락했다.


타운홀 미팅 중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 연합뉴스
타운홀 미팅 중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 연합뉴스

정의선, 직원과 소통
“보상·승진체계 선진화” “쓴소리 앞 자존심 버려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3월 16일 ‘현대자동차그룹의 미래 이야기’를 주제로 열린 온라인 타운홀 미팅에서 “보상과 승진 관련 제도를 더 정교하게 바꾸고 선진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회사에 기여한 것에 비해 존중받지 못한다고 생각하게 해 죄송하다”며 “책임감을 많이 느끼고, 관련 제도 개선을 연내 마무리 짓겠다”고 했다.

온라인으로 생중계된 미팅은 사전 질문 중에서 다수의 공감을 받은 질문을 중심으로 정 회장이 답했다. 이날 정 회장은 2023년 완전자율주행기술을 상용화할 계획도 밝혔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부품 업체 앱티브와 합작해 모셔널을 설립했다.

품질 관련 루머나 오해에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지 않으냐에 대해서는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건 뭐든 자존심도 버리고 받아들여야 된다”며 “품질 대응을 잘해서 완벽한 품질의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면 그런 루머들은 당연히 점점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서울 강남구 이베이코리아 본사. 사진 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이베이코리아 본사. 사진 연합뉴스

이베이코리아 예비입찰 마감
SKT·롯데·이마트 참여 카카오는 불참

몸값만 5조원이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이베이코리아 인수전에 롯데, 이마트, SK텔레콤, MBK파트너스 등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3월 1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날 이베이코리아 매각 주관사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가 예비입찰을 진행한 결과 이처럼 유통사와 IT 업체, 사모펀드가 뛰어들었다. 해외 후보자도 참여한 것으로 전해진다. 유력 인수 후보로 거론된 카카오는 불참했다.

이베이코리아는 지난해 거래액 20조원, 매출 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쿠팡의 최근 뉴욕 증시 상장으로 온라인 유통시장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져 이번 입찰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국내 전자상거래 시장 점유율은 네이버 17%, 쿠팡 13%, 이베이코리아 12%, 11번가 6%, 롯데온 5%순이다.

아직 본입찰 과정은 남았다. 예비입찰에서는 경쟁 업체를 견제하는 차원에서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무신사가 최근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사진 무신사
무신사가 최근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사진 무신사

무신사 추가 투자 유치
1300억 규모 기업 가치 2.5조 인정

온라인 패션 전문업체 무신사가 3월 15일 세쿼이아캐피털과 IMM인베스트먼트로부터 1300억원의 투자금을 추가로 유치했다고 밝혔다. 2019년 11월 투자 유치 이후 1년 3개월 만에 후속 투자가 이뤄진 것이다. 무신사는 이번 투자 유치로 약 2조5000억원 규모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았다.

무신사는 이번 투자금으로 신규 카테고리 확장, 물류 시스템 확충, 입점 브랜드의 해외 진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신진 브랜드 육성을 위한 초기 투자도 확대할 계획이다.

무신사는 국내 온라인 패션 플랫폼사 중 처음으로 거래 금액 1조원을 돌파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패션 업계가 전반적으로 역성장했지만, 무신사는 성장을 지속했다. 한정판 마켓, 명품, 여성 패션 등의 신사업 추진 역량과 사업 모델 다변화에 따른 확장 가능성도 크게 평가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