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의 멤버 슈가(어거스트 디)는 솔로곡 ‘대취타’에서 곤룡포를 응용한 옷을 입고 조선시대 폭군을 재현했다. 사진 빅히트엔터테인먼트
BTS의 멤버 슈가(어거스트 디)는 솔로곡 ‘대취타’에서 곤룡포를 응용한 옷을 입고 조선시대 폭군을 재현했다. 사진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랩, 퍼포먼스, 비주얼까지 완벽하다!”

한국 걸그룹 블랙핑크는 6월 26일(현지시각) 미국 NBC TV ‘지미 팰런 쇼’에서 한복을 입고 신곡 ‘하우 유 라이크 댓(How you like that)’을 선보였다. 이들의 무대가 공개되자마자 구글의 ‘hanbok(한복)’ 검색량이 최근 1년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 한복을 만든 단하주단 온라인 쇼핑몰에는 하루에만 3000~4000명의 방문객이 몰렸다. 대부분 미국·유럽·아시아 등 해외 고객이었다.

요즘 인기 아이돌은 한복을 입는다. 세계적인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BTS)도 2018년 ‘아이돌(IDOL)’ 뮤직비디오에서 한복 도포와 갓을 착용했다. 올해 5월에는 멤버 슈가가 ‘어거스트 디’라는 이름으로 낸 솔로곡 ‘대취타’ 뮤직비디오에서 검은 곤룡포를 입고 조선 시대 폭군을 재현했다. 펩시콜라와 협업 음원을 낸 가수 지코·강다니엘도 슈트에 두루마기를 걸쳤다.

이들의 한복은 엄밀히 말해 전통 한복과 거리가 멀다. 두루마기 앞섶을 풀어 헤쳐 가운처럼 걸치거나, 긴 도포를 싹둑 잘라 짧은 재킷처럼 연출했다. 여성 속옷인 가슴가리개를 크롭톱(cropped top·배꼽티)으로 입고 갓을 삐딱하게 눌러쓰기도 한다.

어른들이 보면 ‘근본 없는 놈’이라며 혀를 끌끌 찰 일이지만, 젊은이들은 ‘전통과 현대의 힙한(멋진) 만남’이라며 열광한다. 뉴트로(newtro·새로운 복고)에 매료된 젊은이들에게 시대와 국경을 넘나드는 한복의 믹스앤드매치(mix and match·여러 옷을 섞어 입는 것)만큼 매력적인 건 없었을 터. 특히 K팝(K-pop) 스타들의 한복이 근사해 보이는 이유는 몸의 움직임과 함께 어우러지는 한복의 아름다움을 잘 구현했기 때문이다.

전통 복식 연구가로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 의상을 디자인한 금기숙 전 홍익대 교수는 한복의 정수를 ‘흔들림과 떨림’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움직임과 생명력, 자연의 에너지를 수용하는 것이 한복의 특징”이라며 “저고리의 고름과 치마의 날림, 족두리의 떨새와 노리개 등에서 율동미가 느껴지는데, 이는 일본의 기모노나 중국의 치파오에서는 볼 수 없는 고유의 아름다움”이라고 했다. 날리는 도포 자락과 K팝 아이돌의 화려한 퍼포먼스는 어울릴 수밖에 없는 ‘찰떡궁합’인 것이다.


‘How you like that’ 뮤직비디오에서 한복을 개량한 의상을 선보인 블랙핑크. 사진 YG엔터테인먼트
‘How you like that’ 뮤직비디오에서 한복을 개량한 의상을 선보인 블랙핑크. 사진 YG엔터테인먼트
‘아이돌(IDOL)’ 뮤직비디오에서 한복을 착용한 BTS. 사진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아이돌(IDOL)’ 뮤직비디오에서 한복을 착용한 BTS. 사진 빅히트엔터테인먼트
펩시콜라 광고에서 슈트 위에 두루마기를 걸친 가수 지코(오른쪽)와 강다니엘. 사진 펩시콜라
펩시콜라 광고에서 슈트 위에 두루마기를 걸친 가수 지코(오른쪽)와 강다니엘. 사진 펩시콜라

전통 한복도 조선 시대엔 복요(服妖)였다

K팝 스타들이 입는 한복은 전통 한복을 현대에 맞게 변형한 것으로 신(新)한복, 개량한복, 퓨전한복, 모던한복 등으로 불린다. 처음엔 한복의 형태를 유지했지만, 점차 디자인이 변형됐고 한복의 모티브만 활용한 현대복을 한복이라 부르는 이들도 있다. 그런 탓에 신한복에는 늘 찬반 여론이 뒤따른다. 고궁 인근의 체험 한복이 대표적이다. 2018년 서울 종로구청은 짧은 기장에 고름 대신 리본으로 묶은 체험 한복이 한복의 전통성을 훼손한다며 고궁 무료입장 혜택을 제한하려 했지만,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무엇이 전통 한복인지’를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옷차림은 시대에 따라 진화하고, 한복 역시 변화를 거듭해왔다. 고려 시대 한복과 조선 시대 한복만 봐도 확연히 차이가 난다. 오늘날 여성 전통 한복의 표준인 상의가 짧고 하의가 풍성한 상박하후(上薄下厚) 형태는 조선 후기 스타일을 계승한 것으로, 당시엔 복요(服妖)라 불렸다. 선왕의 의복제도를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옷을 지어 법도를 넘은 이상한 옷. 즉, 지금의 퓨전한복과 같은 취급을 당했다.

재작년 타계한 한복 디자이너 고(故) 이영희 선생이 1993년 파리 프레타 포르테(기성복 패션쇼)에 한복을 처음 출품했을 때 현지 언론으로부터 ‘바람의 옷’이란 찬사를 받았지만, 국내에선 전통을 훼손했다는 비난을 피하지 못했다. 저고리 없이 치마만 두른 형태 때문이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한복의 대중화라고 입을 모은다. 오늘날 한복은 일상에서 거의 자취를 감췄다. 결혼식에서 한복을 착용하는 풍습이 남았지만, 혼인 건수가 줄면서 수요도 감소했다. 한복진흥센터에 따르면, 국내 한복 시장 규모는 약 7000억원으로, 전체 의류 시장(약 42조4000억원)의 1%대 수준에 불과하다. 한복 입는 사람이 줄면서 유일하게 한복을 가르쳤던 배화여대 전통의상학과는 2016년 폐과됐다.

이런 가운데 K팝 스타들을 비롯해 젊은이 사이에서 한복(신한복)을 즐기는 문화가 확산한다는 사실은 단비 같은 소식이다. 인스타그램에서 ‘#한복’을 검색하면 166만여 건의 게시물이 검색되고, ‘#한복스타그램’ ‘#한복대여’ 등 관련 게시물도 수십만 건에 달한다. 온라인 쇼핑몰이나 크라우드펀딩으로 한복을 파는 이들도 늘었다. 불과 2년 전 한복 진위 논란으로 시끄러웠던 여론도 긍정적인 흐름으로 바뀌었다.

박선영 한복진흥센터 산업팀장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경복궁 인근의 한복 대여점 53곳 중 17곳이 휴업하거나 폐업 중”이라며 “한복의 지속 가능성이 염려되는 상황에서 젊은이들이 신한복을 즐기는 모습은 ‘다양성 확대’ 측면에서 반가운 일이다. 유행을 규제하기보다 교육 등을 통해 전통 한복의 인식을 바르게 정립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