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PL 서비스 이용자가 클라르나 플랫폼 결제화면을 보고 있다. 사진 클라르나
BNPL 서비스 이용자가 클라르나 플랫폼 결제화면을 보고 있다. 사진 클라르나

한 소비자가 미국 룰루레몬 온라인 홈페이지에서 요가복을 골라 장바구니에 담는다. 곧 주소 입력창이 뜨면 옆에서 ‘어떻게 결제하겠느냐’고 묻는다. 익숙한 신용카드사 이름 대신 페이팔 같은 간편결제 플랫폼이 보인다. 그러나 이전에 보던 페이팔 아이콘이 아닌 낯선 이름이 보인다. 클라르나(Klarna)와 애프터페이(Afterpay)다.

클라르나와 애프터페이는 둘 다 ‘선구매 후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이다. 영어로는 ‘Buy Now, Pay Later’의 약자를 따 BNPL 서비스라 불린다.

소비자가 BNPL 방식으로 결제하면 결제 업체는 소비자를 대신해 가맹점에 먼저 대금을 전액 지불한다. 소비자는 여러 차례에 걸쳐 BNPL 결제 업체에 돈을 갚으면 된다.

언뜻 들으면 ‘신용카드와 뭐가 다른데?’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BNPL은 소비자 신용등급이 필요 없다. 발급과 한도 설정을 위해 까다로운 신용 조건을 요구하는 신용카드와 달리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쓸 수 있다. 신용카드로 할부 서비스를 이용하면 꽤 높은 할부 수수료가 붙지만, BNPL은 따로 수수료도 없다.

BNPL 업체는 대신 가맹점에서 높은 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챙긴다. 보통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가 1~2% 초반 수준이라면 BNPL 업체들은 가맹점 수수료를 5~7%까지 받는다.

룰루레몬, 아디다스, 월마트 같은 가맹점들은 두 배가 넘는 수수료를 물어가면서도 ‘울며 겨자 먹기’로 BNPL 결제를 도입했다. 돈과 신용등급은 없지만, 구매 욕구만큼은 누구보다 강한 MZ 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대생) 소비자들이 BNPL에 열광하기 때문이다.

최근 이들 MZ 세대를 중심으로 BNPL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2005년 설립한 스웨덴의 BNPL 플랫폼 클라르나는 미국 내 2000만 명을 포함해 전 세계에서 9000만 명을 사용자로 확보하며 업계 선두 주자로 치고 나섰다. 애프터페이는 호주를 중심으로 1000만 명이 사용한다. 세계 최대 간편결제 기업 페이팔이나 전통적인 신용카드 업계 강자 아메리칸익스프레스 같은 대기업들도 줄지어 이 시장에 발을 들였다. 

국내에서는 일부 빅테크가 선제적으로 BNPL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네이버파이낸셜은 지난해 4월부터 네이버페이 가입자 일부를 대상으로 월 최대 30만원까지 ‘후불결제’를 시범 서비스 중이다. 쿠팡 자회사 쿠팡페이도 로켓와우 멤버십 회원 가운데 일부에 한해 월 50만원 한도로 ‘나중결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토스뱅크 역시 올해 3월 안에 관련 서비스를 선보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고은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BNPL 서비스는 소비자에게 할부 이자나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아 소비를 촉진시키는 반면, 가맹점에 높은 결제 수수료를 부과해 최종 상품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서비스 이용자들의 채무 상환 능력을 고려하지 않은 할부 거래를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부채를 증가시켜 장기적으로 경제 기반을 흔들 수 있는 위험 요소를 감안해야 한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