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에서최태원 SK그룹 회장 일행(오른쪽 아래)을 향해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트위터·뉴스1
조 바이든(왼쪽) 미국 대통령이 워싱턴 D.C. 백악관에서최태원 SK그룹 회장 일행(오른쪽 아래)을 향해손을 흔들고 있다. 사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트위터·뉴스1


SK그룹이 미국의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바이오·그린에너지 등 핵심 성장 분야에 220억달러(약 29조3260억원)를 신규 투자한다. 기존 70억달러(약 9조3310억원)의 투자금까지 포함하면 SK그룹의 대미 투자 규모는 290억달러(약 38조6570억원)에 달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인사이드 아메리카’ 전략 실현 의지가 실린 행보라는 분석이다. 

미국을 방문 중인 최 회장은 7월 26일(이하 현지시각) 백악관 회의실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화상 면담으로 만나 220억달러 규모의 대미 추가 투자를 약속했다. 

최 회장은 “한·미 양국은 21세기 세계 경제를 주도할 기술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며 “이러한 협력은 핵심 기술과 관련한 공급망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SK는 투자를 통해 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와 혁신, 일자리 창출 등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것이며, 더불어 미국 행정부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으로 함께 번영할 수 있다는 데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은 “SK그룹이 22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추가로 단행할 경우 SK의 미국 내 일자리는 2025년 4000개에서 2만 개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최 회장을 ‘토니(Tony·최 회장의 영어 이름)’라고 부르며 친근함을 표했다. 이날 화상 면담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최 회장에게 “생큐”를 말한 횟수만 총 10회에 달했다.

SK그룹에 따르면, 대미 신규 투자액(220억달러) 중 절반이 넘는 150억달러(약 20조원)는 반도체 분야에 사용된다. 세계 최대 전자·반도체 시장인 미국이 반도체 제조 클러스터를 키우는 데 따른 결정이다. 

김용석 반도체공학회 부회장은 “삼성은 이미 미국 오스틴에 반도체 공장 두 곳을 운영 중이며, 테일러에도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지만, SK는 그렇지 못한 상황”이라며 “SK가 미국 내 확고한 반도체 제조 기반을 만들고, 현지에서 새로운 파트너십을 확장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반도체 사업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밖에도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바이오 분야에 20억달러(약 2조6660억원), 그린수소 및 첨단 소형 원자로(SMR) 등 그린에너지 분야에 50억달러(약 6조6650억원)의 신규 투자를 진행한다. 

한편, 7월 21일 코로나19 확진 판정으로 격리 중인 바이든 대통령은 화상 면담 직후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대통령 집무실 창가에서 최 회장을 향해 손을 흔드는 사진을 올렸다.

메가스터디 홈페이지. 사진 메가스터디
메가스터디 홈페이지. 사진 메가스터디

시총 1조 돌파 후 매물로 나온 메가스터디교육
매출 사상 최대…MBK, 인수 저울질 

2021년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한 국내 1위 온라인 교육 업체인 메가스터디교육이 매물로 나왔다. 메가스터디교육은 7월 26일 공시를 통해 “당사의 최대주주가 MBK파트너스에 지분 매각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손주은 메가스터디교육 대표 지분(13.5%)과 일부 특수관계인 지분 등을 포함해 약 30%에 대한 매각이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1세대 인터넷 스타 강사이자, 메가스터디 창업자인 손 대표는 2004년 메가스터디를 코스닥에 상장했고, 2015년에는 메가스터디 중·고등 온·오프라인 사업 부문을 인적 분할해 메가스터디교육을 설립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온라인 강의 수요가 늘면서 반사수익을 입은 덕에 메가스터디교육은 2021년 역대 최대 매출(이하 연결 기준⋅7036억원)을 기록했고, 올해 4월 시가 총액 1조원을 돌파했다. 투자 업계 일각에서는 최근 지속적인 학령(만 6세 이하) 인구 감소로 교육 사업 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역대 최대 매출이 나온 지금을 매각 적기로 판단한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온다. 이날 메가스터디교육은 “(매각에 대해) 관련 사항이 확정되는 대로 1개월 내 재공시하겠다”라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 중국 공장. 사진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중국 공장. 사진 LG에너지솔루션

LG엔솔, 中에 배터리 재활용 합작사 설립 추진
양극재 원재료 난징 공장에 공급 

국내 최대 배터리 업체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최대 코발트 생산 업체인 화유코발트와 중국에 배터리 재활용 전문 합작사 설립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은 화유코발트와 손잡고 배터리 리사이클(재활용) 합작법인을 설립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7월 26일 밝혔다. 합작법인은 배터리 생산 중 생기는 폐기물인 스크랩(scrap)과 수거된 폐배터리 등에서 양극재 주원료로 쓰이는 니켈과 코발트 등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한 배터리 핵심 원재료를 LG에너지솔루션 난징(南京) 배터리 생산 공장에 공급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스크랩을 처리하고 폐배터리를 가공하는 전(前)처리 공장을 난징에 세우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모회사인 LG화학은 2019년 화유코발트와 중국에 전구체·양극재 합작사를, 지난 5월에는 구미에 양극재 합작사를 각각 설립한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인 권영수 부회장은 “배터리 리사이클 역량 확보를 통해 원재료 공급 안정성과 원가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풍산 공장 내부. 사진 풍산 홈페이지
풍산 공장 내부. 사진 풍산 홈페이지

7년 만에 IR 연 은둔의 풍산
3000억대 투자 계획 발표

비철금속 업체 풍산이 7월 14일 기업설명회(IR)를 열고 이차전지 소재 설비와 공격 드론 개발 등에 3127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풍산이 공식적으로 IR 행사를 연 것은 2015년 1월 이후 7년 6개월 만이다. 풍산은 전기차에 들어가는 이차전지 소재 수요 증가에 대비해 구리 압연박판 등 설비 증설에 1441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밖에 K9자주포 포탄 개발 같은 방산 분야에도 1686억원을 투자한다. 이 중 158억원은 ‘개인 휴대 전투 드론(PCD)’ 개발에 투입한다. 이 드론은 가방에 휴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 조종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풍산은 이번 IR 행사에서 올해 영업이익 목표를 1600억원에서 2100억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최근 구리 제품 가격이 크게 올라 호실적이 예상된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풍산은 그동안 조용한 경영으로 시장과 소통이 거의 없어 ‘은둔의 풍산’이라는 별칭이 붙기도 했다.

심민관 기자
이코노미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