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들은 그들의 안보나 자존심에 반하는 사건이 발생하면 매우 격한 반응을 보인다. 최근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를 놓고 중국 정부는  한국 기업에 대한 일련의 제재조치를 전 산업에 걸쳐 시행하고 있다.

중국은 외교 문제가 있을 때마다 경제 보복을 했다. 최근에는 2012년 남중국해에서 영토 분쟁이 있었을 때 일본에 희토류 수출금지 조치를 취했다. 2008년에는 프랑스 대통령이 달라이 라마를 접견한 사건 때문에 중국 소비자들이 카르푸 매장 앞에서 불매운동을 벌였다. 2010년 노벨위원회가 중국 인권 운동가에게 노벨 평화상을 수여했을 때는 노르웨이산 연어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아이러니하게 민족주의로 인한 반일 감정이 우리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던 시기도 있었다. 중국 정부 주도의 민족주의 교육이 시작된 1990년부터 상당기간 일본 기업은 중국 진출에 소극적이었고 그 공백을 한국 기업이 치고 들어가 반사이익을 얻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중국 민족주의로 인해 이득보다 잃을 것이 더 많다. 한국이 지금까지는 중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지만 사드 배치 결정으로 한국은 중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국가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이다.

불매운동으로 이어지는 수입품 배척 정서를 두 분류로 나눌 수 있다고 경영학자들은 말한다. 하나는 ‘지속적인 반감(stable animosity)’ 그리고 또 하나는 ‘상황적 반감(situational animosity)’이다. 전자는 역사적 원인과 지정학적인 인접성으로 반복적으로 생기는 감정이고 후자는 국제관계의 우발적 사건으로 인한 일회성 감정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중국이 미국과 일본에 대해 갖는 반감은 지속적 반감에 속하고 프랑스와 노르웨이에 대한 반감은 상황적 반감에 속한다. 한국에 대해서는 어느 쪽이라고 단정짓기 어렵지만 한·미 군사동맹이 있는 한 갈등의 씨앗은 존재한다. 내재하는 갈등은 주기적으로 표출될 수밖에 없다.


“중국서 철수 안 한다” 발표하고 버텨야

그렇다면 중국의 이러한 경제 보복에 우리 기업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원론적인 대책을 떠나 실질적인 측면에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자.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 보복이 종결됐을 때 원상회복하는 것이다. 자칫 잘못하면 경제 보복으로 시작된 틈새가 계속 벌어져서 중국이라는 거대시장을 영원히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사드 문제로 의료관광이 어렵게 되자 중국 소비자들은 중국 내 의료시설을 찾기 시작했다. 더구나 일부 부도덕한 브로커들의 행태가 중국 TV에 방영되면서 한국 의료관광은 위기를 맞고 있다. 이대로 간다면 관광 보이콧이 끝난 후에도 의료관광은 회복되기 어려울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는 한국 업체의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가 보조금 대상에서 모두 제외됐다.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에서 한국 완성차 및 부품회사들이 주도권을 빼앗긴다면 나중에 만회하기는 더 힘들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 기업의 위기는 중국 시장에 재도전하고 있는 일본 자동차 기업에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제재가 진행되는 기간에는 어쩔 수 없더라도 제재가 풀리는 것과 동시에 시장지위를 빠르게 회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 시장에서 철수는 없다’는 원칙을 중국 소비자와 비즈니스 파트너들에게 공표하고, 경제 제재가 있는 동안 성실하게 사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만일 1년 동안 중국에서 손해를 보면서 신뢰를 쌓겠다는 각오로 임한다면 제재가 풀렸을 때 그 기업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취할 수 있는 또 다른 전략은 적극적인 사회공헌으로 민심을 파고드는 것이다. 한 예로 코카콜라는 중국에 120개의 공부방을 설립해 20만명 어린이들에게 교육혜택을 주었다. 이 밖에도 지역 친화적인 사업으로 문화유산을 복원해 준다든지, 공원과 같은 공공시설을 지어주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중국 사회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은 미래에 올 위기를 대비하는 일종의 보험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