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기존에 갖고 있던 산업과 경쟁의 정의가 붕괴되는 시대다. 독감 예측에 있어서 구글과 미국 보건당국이 경쟁자다. 에어비앤비는 힐튼호텔보다 시가총액이 많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으로 인해 더욱 새로운 세상이 펼쳐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기업 경영은 노동, 자본 등의 물리적 요소를 기반으로 ‘더 좋게, 싸게, 빠르게’의 기치를 들고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영 방정식은 더 이상 통용되지 않고 있다. 이제 열심히 일을 더 한다고 해서, 연구·개발에 더 투자한다고 해서 기업가치가 향상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기업들이 혁신을 한다고 하지만 그 결과는 기대에 못 미치고, 오히려 더 초라한 경우가 많다.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며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이 단순히 인공지능 등의 기술혁신에 국한되는 것으로 생각하면 오산이다. 4차 산업혁명은 기업 경영의 머리에서 발끝까지 본질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를 관통하는 것이 바로 ‘예술’과 ‘경영’의 만남이다. 예술? 그렇다. 기업은 ‘아트경영’을 통한 파괴적 혁신으로 기업가치 창출과 조직구성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아트경영 실천을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기업의 ‘제품(Product)’이 ‘예술작품(Art)’이 되도록 해야 한다. 예술작품은 독창성과 더불어 자기만의 정체성이 있으며, 고객에게 가치와 진한 감동을 선사한다. 고객들이 제품을 사용하면서 ‘와! 예술인데’라는 감동과 감탄이 절로 나오도록 해야 한다. 제품이 예술작품으로 승화한다는 의미는 유명 예술가의 작품 등을 기존 제품개발이나 마케팅에 활용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오히려 기업이 지향하는 철학과 가치를 고객에게 파는 것이다. 이는 해당 기업의 존재 이유와 직결된다. 따라서 기업은 ‘what(무엇)’을 파는 것이 아니라 ‘why(왜)’를 파는 것으로 대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업전략에서부터 인력채용 및 교육에 이르기까지 기존 경영의 틀을 부수고 완전히 새롭게 재구성해야 한다.


제품을 예술작품이 되도록 해야

단지 제품의 기능을 경쟁사보다 더 낫게 만들어서 매출을 향상시키는 경영 방정식도 벗어던져야 한다. 따라서 기업의 임직원들은 소위 ‘보스’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why’를 따라야 한다. 기업에서 진정한 보스는 ‘why’에 해당하는 기업의 철학과 가치, 존재의 이유가 돼야지 ‘사장’이 돼선 안 된다. 우리 기업은 지금 제품이 아닌 예술작품을 개발해서 팔고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 이것이 고객이 열광하는 아트경영이다

두 번째로는 기업에서 조직구성원은 일하는 직원(worker)이 아닌 예술가(artist)로 탈바꿈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구·개발자는 ‘연구·개발 아티스트’가 돼야 한다. 그렇다고 지금부터 예술 공부와 예술작품에 대한 지식을 쌓고 취미로 예술 창작을 하라는 뜻이 아니다. 예술가의 창작 결과물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창작 과정’을 경영현장에 접목하는 것이다. 예술가는 세상과 인류에게 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싶은 갈망이 있다. 그 메시지 구현을 위해 스스로 동기부여가 돼 움직이는 주체로서 ‘일=노동’이 아니라 ‘일=자아실현’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조직구성원이 예술가로 탈바꿈한다는 것은 일에 대한 의미가 ‘노동’이 아니라 일종의 ‘소명’으로 새롭게 규정된다는 얘기다. 즉 누가 시켜서 일하는 ‘객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내적 동기가 부여돼 신나게 몰입하며 일하는 ‘주체’로서 자율 경영을 실천하는 것이다.

따라서 직장은 스트레스 받으며 일하는 장소가 아니라, 일종의 놀이터가 되도록 해야 한다. 직장인이 직장이라는 놀이터에서 지칠 줄 모르고 뛰어노는 ‘어른이’가 될 때 이것이 바로 아트경영이 추구하는 모습이며,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모습이다. 이뿐만이 아니라 일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예술가의 창작 과정처럼 조직구성원은 세상과 사물을 새롭게 바라보고 ‘관찰’하며, 공감하는 새로운 생각의 렌즈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토대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파괴적 혁신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이젠 ‘예술가 DNA’를 얼마만큼 보유하고 있는가가 진정한 기업의 경쟁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