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촨의 역사와 문화를 담다

- 타패주(오른쪽)와 타패주 본사 건물
- 타패주(오른쪽)와 타패주 본사 건물

<일러두기>

❶ 현대 중국의 인명 및 지명, 중국의 고유명사는 중국어 발음대로 표기했다. 단,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고유명사는 한자 독음대로 표기하였다.

 <예> 毛澤洞 마오쩌둥 西安 시안 / 長江 장강 杏花村 행화촌

❷ 술 이름의 경우에도 중국어 발음대로 표기해야 하나 우리에게 익숙한 술에 한해서만 그렇게 했다. 여타의 술은 발음이 어렵거나 의미 전달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 한자 독음으로 표기했다. <예> 茅台酒 마오타이주 五粮液 우량예 / 黃鶴樓酒 황학루주 劍南春 검남춘

❸ 신 중국 수립(1949년)을 기준으로 그 이전의 인명 및 지명은 한자 독음대로 표기했다. <예> 李白 이백 杜甫 두보 南京 남경

- 타패주 양조 작업(왼쪽)과 타패주의 발효지
- 타패주 양조 작업(왼쪽)과 타패주의 발효지

중국의 ‘국가 명주’ 배갈 중에 ‘타패주(牌酒, 퉈파이저우)’라는 것이 있다. 포구(浦口)를 뜻하는 한자 ‘타()’는 특히 쓰촨(四川)에서 지명에 많이 쓰이고 있다. 쓰촨의 성도(省都) 청두(成都) 시내를 거쳐 장강으로 흘러드는 강의 이름도 ‘퉈장(江)이다. 따라서 웬만한 중국인들은 ‘’자만 봐도 쓰촨을 떠올리게 마련이다.

지난해 말, 중국 허난성(河南省)의 고도(古都) 카이펑(開封)의 한 대학을 방문한 일이 있었다. 일정을 마치고 학교 관계자들과 저녁 회식을 하게 되었는데 뜻밖에도 식탁에는 타패주가 여러 병 올라 와 있어 내심 놀랍고 반가웠다. 타패주가 국가 명주의 반열에 들긴 하지만 아직 쓰촨성 밖으로 시장을 넓히지 못하고 있는 사정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손님이 술을 알아주면 훨씬 환대하는 중국인들의 관례를 아는 터라 아무튼 그날 나는 타패주를 반기며 제법 아는 척을 했고 그들은 그들대로 기분이 좋아 금세 분위기가 고조됐다. 

타패주 술 회사는 쓰촨의 사홍현(射洪縣) 류수퉈(柳樹) 지역에 있으며 회사에서는 이곳의 이름난 우물 퉈촨(泉)의 물로 술을 빚는다. 지명에서 술 이름이 유래됐음에도 회사에서는 ‘’ 글자 하나에도 거의 우주적인 의미를 보탠다. 즉 ‘’는 ‘장강의 근원(長江之源)’이며 ‘세상의 인재와 물산이 모이고(集吸納)’ ‘하늘과 땅이 호응하는(天呼地應)’ 곳이란 것이다. 사홍현은 청두에서 동북쪽으로 3시간 버스길이다.

천혜의 자연에서 빚어지는 타패주

사홍은 당대(唐代)의 저명한 문장가인 진자앙(陳子, 659~700년)의 고향이다. 산천이 수려하고 기후가 온화하며 물산이 풍부한 데다 일찍이 좋은 술을 빚었기에 명주의 고향이라고 했다. 당대에 이미 이곳 술 사홍춘주(射洪春酒)는 맑고 깨끗함으로 정평이 났으며 이는 송대(宋代)에도 이어졌다. 명대(明代)에 생산된 ‘사주(射酒)’는 깨끗함과 향기로 명성이 높았다. 가정(1522~1566년) 연간에 사홍 사람 사동산(射東山)이 산동 지방의 양조법을 배워와 전통의 춘주 양조법에 섞어 보았더니 그 맛과 향이 한결 빼어났다. 이것이 사홍춘주의 전통을 계승한 ‘사주’이다.

청(淸) 광서 연간(1875~1908년),읍 사람 이명방(李明方)이 성 남쪽 유수타에 작은 술집 하나를 열고 이름을 금태상(金泰祥)이라고 했다. 집 뒤편에 양조장을 만들어 스스로 술을 댔다. 이것이 태안초방(泰安酢坊)의 전신이다. 그 후 그의 아들 이길안(李吉安)이 가업을 계승했는데 그는 자신이 사홍춘주와 사주의 비방을 얻어 술을 만들었다고 했으며 청룡산(龍山) 기슭에서 솟는 타천의 물을 사용해 술을 빚었다. 술맛은 진하며 달았는데 술꾼들은 이를 ‘금태상대곡주’라고 불렀다. 술맛에 매료된 주객들이 문 앞에 북적대면서 술집은 날로 번창해 갔다. 금태상의 이름이 사방에 퍼지면서 술집에는 앉을 자리가 없어졌고 술을 사 가려는 행렬이 문전에 길게 이어졌다.

그러나 이 술은 만들기가 복잡하고 생산량이 한정돼 있어 원하는 사람에게 다 줄 수 없었다. 술이 떨어지면 사람들은 다음날 다시 와서 줄을 섰다. 손님들에게 미안함을 가진 주인은 작은 나무패를 만들어 거기에다 ‘타()’자와 함께 순번을 적어 당일 술을 구하지 못한 손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다음날 패를 가지고 오면 순서대로 술을 살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다. 손님들은 이 방법을 크게 환영했고 이로써 타자 패는 금태상의 증표가 됐다. 패가 유통되면서 사람들은 자연스레 술 이름마저 ‘타패곡주’라고 불렀다.

1940대년 초 선비 마천구(馬天衢)가 고향에 돌아와 부모를 모시면서 이 술을 마셔보곤 술맛이 별남을 알았다. 또 타자 패를 보곤 감탄해서 말했다. “타는 장강의 근원! 금태상이 타로써 패를 삼았으니 윤택할 수밖에 없도다. 이 술은 장래 크게 될 게 분명하다.” 술집 주인 이길안도 손님들이 부르는 이름을 흔쾌히 받아들여 타패곡주를 정식 명칭으로 사용했으며 마천구의 예언대로 이 술은 사홍에 큰 복을 가져오는 동시에 중국 배갈의 자랑이 됐다.

신중국 수립 후 타패곡주는 새로운 발전의 계기를 맞았다. 전통 기술에 현대과학기술이 접목돼 술의 질이 한층 높아졌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타패주는 사홍춘주, 사주가 가지는 맑고 순한 향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 지하의 발효 구덩이에서 얻은 짙고 그윽한 향과 깨끗하면서도 오래 끄는 여운의 향을 다 갖추었다.

지난 1989년 열린 제5회 전국주류평가대회에서 타패 54도와 38도 두 술이 영예의 금장을 받아 ‘중국 명주’의 반열에 올랐다. 오늘날 타패 술을 생산하는 타패곡주주식회사는 1951년 12월 태안초방을 임대해 술 생산을 시작했다. 2003년 현재 회사 직원은 5000여명이며 총자산은 20억위안이다. 자회사가 24개이며 주력산업인 술 이외에도 기계, 전자, 제약, 운송, 건자재, 포장·인쇄 등의 분야까지 확장해 그룹으로 발전했다. 오늘날 이 회사는 사홍현 재정 수입의 50% 이상을 감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縣) 중심지에서 택시로 20여분이면 도착하는 술 회사의 정문. 도시 공원과 다를 바 없다는 소문 그대로 회사는 나무가 우거진 드넓은 부지에 건물들을 균형 있게 배치시켜 놓고 있다. 산시성의 분주(汾酒) 회사처럼 타패 역시 부지의 많은 부분을 술 문화 관광공간으로 꾸며 소비자에게 돌려주고 있는 셈이다.

회사 구역은 크게 사무지역, 생산지역, 거주지역으로 구분되는데 지역과 지역 사이에는 버드나무, 복숭아나무, 은행나무 등 경제 수목들이 숲을 이루고 있다. 이 수림은 회사원과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 되는 동시에 미생물의 자연스러운 집합과 번식에도 기여해 술 제조에 도움을 준다. 비옥한 토양과 온화하고 습기가 많은 날씨도 천부적인 환경을 만들어준다. 시원스럽게 뚫린 구역 내 도로들이 회사의 곳곳을 연결하며 아열대 식물들이 자라는 풀밭이 보는 이의 눈을 상쾌하게 한다. 밤중에는 회사의 슬로건을 새긴 대형 네온사인이 휘황하게 돈다. 회사 자체가 현대의 ‘주성(酒城)’이라고 자랑하는 홍보담당 직원의 말도 과장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

회사가 위치한 류수퉈는 현 남쪽에 있다. 관광지로 유명한 저우짜이커우(九寨口)에서 발원한 푸강(江)의 물이 북쪽에서 흘러들어 사홍현 24개 마을을 통과한 뒤 이곳 류수퉈에서 드넓은 충적평야를 형성한다. 이 들판은 동쪽으로 푸강과 칭롱산을 마주하는데 산은 마치 강가에 누운 한 마리의 용과 같다. 붉은 수수가 익어갈 때면 온 들에 불꽃이 이는 듯하다. 1986년 타패 회사에서는 칭롱산 자락의 부강 가에서 하루 5000t의 질 좋은 물을 길어 올릴 수 있는 우물을 찾았다.

- 진화산 가는 길
- 진화산 가는 길

대시인 진자앙과 두보를 앞세운 마케팅

타패의 브랜드 선전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역사 인물이 진자앙과 두보다. 진자앙은 이곳 사홍에서 태어나고 자랐다는 이유에서, 그리고 두보는 직접 이곳을 여행하면서 자신의 시에 사홍춘주를 명기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연관성만 따진다면 진자앙이 사홍과 더 긴밀하지만 지명도에서 두보를 따르지 못하는 관계로 두 사람은 서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타패 술을 선전하고 있는 셈이다.

사홍을 찾는 외지인은 한 번쯤 반드시 찾는다는 진화산(金華山)은 현 북쪽 푸강 가에 있다. 당대의 대시인 진자앙이 공부했다는 이곳은 사홍문화의 한 상징이 된다. 부잣집 아들로 태어난 진자앙은 어릴 때부터 의협심이 컸다. 당 고종 4년(659년)에 태어난 그는 21세에 장안으로 갔으며 682년 진사가 됐다. 여 황제 무측천(武天)이 그의 출중함을 알아 벼슬을 내렸고 사람들이 그의 시문을 베껴가려고 서로 싸웠다. 돌궐이 쳐들어 왔을 때 그는 의연히 붓을 던지고 전장에 나가 승리한 후 장안으로 돌아왔다. 우습유(右拾遺)에 발탁됐던 그는 거란 토벌에 나섰다가 장수의 미움을 받고 강등됐다. 비분강개한 그가 유주대(幽州台; 북경에 있었다)에 올라 하늘을 보며 탄식했는데 이것이 천고의 절창이 됐다.

앞을 봐도 옛 사람은 보이지 않고 (前不見古人)

뒤를 돌아봐도 오는 이를 보지 못 하네 (後不見來者)

천지의 아득함을 생각하며 (念天地之悠悠)

홀로 창연히 눈물 흘린다. (獨愴然而涕下)

진자앙은 서기 698년 아버지가 늙고 병들었음을 이유로 관직생활을 청산하고 고향으로 돌아오지만 머잖아 사홍 현령의 모함을 받아 옥에 갇히는 신세가 된다. 서기 700년 울분으로 죽었는데 그때 그의 나이 42세였다. 뒷날, 이백은 진자앙과 남조시대의 시인 포조(照) 두 사람을 가리켜 기린과 봉황과 같은 존재라고 했으며 두보는 그를 일월처럼 빛나는 성현이라고 칭송하였다. 

당 만력 6년(771년) 금화산에 진자앙을 기리는 비석을 건립한 이래 여러 왕조를 거치면서 그를 흠모하는 이들이 정자를 수리하고 조각상을 세웠다. 현재의 독서대 주변에는 고목이 빽빽이 솟아 있으며 고풍스러운 담장이 주위를 두르고 있다. 안으로 들면 ‘고독서대(古讀書臺)’란 네 글자가 적힌 정문이 있고 길을 따라가면 감우청(感遇廳)을 만난다. 건물 안에는 청년 진자앙의 모습을 새긴 백옥 전신상이 있고 그 뒷면 벽에는 대표작 ‘감우시(感遇詩)’ 38수가 새겨져 있다.

타패 술이 두보를 앞세우는 까닭은 시 ‘야망(野望)’에 직접 사홍춘주가 언급되기 때문이다. 사홍춘주를 원류로 삼는 타패로서는 이보다 고맙고 귀한 기록이 없다. 두보는 762년 겨울 사홍에 왔다. 선배 시인 진자앙을 추모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두보는 쉰 한 살. 사홍을 찾았을 때는 진자앙이 세상을 떠난 지 62년이었다. 두보는 평소 진자앙에 대한 존경심이 컸을 뿐 아니라 그의 불행한 신세에 대한 동정도 있었다. 사홍에 도착한 두보는 금화산을 둘러보고 무동산 아래에 있는 그의 옛 집도 구경했다. 시 ‘야망(野望)’도 이쯤에서 읊어졌다.

사홍현의 춘주는 이 추운 날에도 여전히 푸른데

(射洪春酒寒仍綠)

먼 데 보며 마음 아파하면서도 술 한 방울 보낼 데가 없구나.

(極目傷神誰爲携)

시인은 적막한 사홍의 겨울 풍경에 고통스러운 자신을 대입시킨다. 사홍춘주와 함께 표현된 ‘한잉녹(寒仍)’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다. 일반적으로 겨울에 술을 담아 봄이 되면 완성되는 술을 춘주라고 하는데 ‘寒仍’은 당시의 춘주가 청록색을 띠었다는 전제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추위 속에도 여전히 푸르다는 뜻으로 새긴다. 아무튼 대시인 두보가 한 번 시로 읊으면서 춘주가 사홍의 대명사가 되었음은 부인할 수 없다.

그렇지만 타패 술은 아직 최고급 배갈의 반열에 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타패의 광고 전략부터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근래 타패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카피는 ‘유세월구 적적타패정(悠歲月久 滴滴牌情)’이다. 우리 식으로 번역하면 ‘오랜 세월 변함없이 뚝뚝 묻어나는 타패 술의 정’쯤 될까. 이런 음풍농월 식으로는 되레 제품의 품위를 떨어뜨려 고급화 지향에 장애가 된다는 것이다. 중국인들의 가치 매김에는 공리적인 심리가 많이 작용한다. 예컨대 술의 경우에도 이 술이 내게 얼마나 이로운 것인가를 따져 선택하는 경향이 많다. 실제로 소비자의 입맛이라는 것도 이런 계산과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술의 광고에 있어서도 계산의 핵심을 겨냥해야 한다는 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

2006년부터 타패는 제품 브랜드의 개선과 조정에 발벗고 나섰다. 아울러 경영 주체의 다원화도 꾀했다. 모두 자사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취해진 조치인데 그 효과는 아직 미지수다. 문제는 국외자가 보더라도 모품(母品)의 퀄리티가 모호하다는 점이다.

우량예, 수정방처럼 고급화를 추구하는 것도 아니고 서봉주, 고정공주처럼 대중을 겨냥하는 것도 아닌 어정쩡한 태도를 취하는 이상 그 브랜드가 소비자의 뇌리에 각인되기 어렵게 마련이다. 선택과 집중에도 문제가 있는 성싶다. 타패가 전국 시장을 겨냥한다고 말을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청두로 대표되는 쓰촨성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차라리 청두 하나를 차지하겠다는 전략을 펴는 게 더 나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지난 2007년 6월부터 회사에서는 담아타패(淡雅牌) 시리즈의 제품에 힘을 쏟고 있다. 40도 미만의 도수 낮은 술로 승부수를 띄워보겠다는 전략이다.

(왼쪽부터)사홍 진화산 / 진자앙의 시를 새겨놓은 진화산 독서대 / 진자앙 독서대 앞의 기사비
(왼쪽부터)
사홍 진화산 / 진자앙의 시를 새겨놓은 진화산 독서대 / 진자앙 독서대 앞의 기사비

 

최학 소설가·우송대 교수

필자 최학 교수는 197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당선으로 등단했고, 1979년 한국일보 장편소설 공모에 역사소설 <서북풍>이 당선되면서 큰 주목을 받은 중견 소설가다. 대표작으로 <서북풍>, <미륵을 기다리며>, <화담명월> 등이 있으며, <배갈을 알아야 중국이 보인다>, <니하오 난징> 등 중국 관련 저서도 있다. 현재 우송대 한국어학과 교수로 많은 중국인 학생들을 가르치며 한·중 양국간 교류에 일조하고 있다. 네이버에 ‘배갈, 白酒의 향과 맛을 찾아 (
http://blog.naver.com/jegang5)’라는 블로그를 운영하며 배갈 대중화 작업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