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8년 5월 중국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이 칭다오시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인 영원무역을 방문, 생산라인을 살펴보고 있다.
- 2008년 5월 중국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이 칭다오시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인 영원무역을 방문, 생산라인을 살펴보고 있다.

 “서부로 옮겨가기는 가야 할 것 같은데… 공장 옮기고, 이삿짐 싸서, 가족들 손 끌고 먼 길을 나서려니 차마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습니다.… 가기는 가야 하는 걸까요?”



중국 산둥성 칭다오에서 공장을 경영하는 한 한국기업 사장이 최근에 들려준 하소연이다. 인건비는 날로 비싸지고, 외국기업에 대한 조세 특혜는 지난해 말로 완전히 없어졌고, 환경영향 평가를 비롯한 각종 규제법령은 자고 나면 하나씩 늘어가고, 이제 더 이상 칭다오에서 버틸 엄두가 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중국 정부나, 우리 정부나 이구동성으로 “중국 서부로 가라, 쓰촨성이나 후베이성은 아직 인건비도 싸고, 행정당국도 지금 가면 크게 환영할거다”라고 말하지만, 말 그대로 물설고 낯선 땅으로 다시 옮겨가려니 발걸음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미국의 서부 개척 시절 마차에 이삿짐을 싣고, 가족들 태우고 서부로 서부로 향하던 모습은 어린 시절 미국 서부영화에서나 보던 광경인데 이제 이 사장뿐만 아니라 칭다오에 사는 많은 한국기업 사장들과 한국인 직원들이 그런 운명에 처했다는 것이다.  



한국기업의 중국 진출사는 1988년 시작됐다. KOTRA가 집계한 숫자를 보면 1989년 7개의 기업이, 1990년에는 24개 기업이 새로 중국으로 진출했다. 중국으로 진출하는 한국 기업의 숫자는 이후 빠르게 늘어나 2006년 피크를 이뤘다. 그해 모두 2301개의 한국기업들이 중국으로 진출했다. 하루에 6개 이상의 한국기업들이 중국으로 옮겨갔다. 그러나 2006년을 기점으로 중국으로 진출하는 한국기업들의 숫자가 늘어나는 속도가 떨어지기 시작했다. 2007년에는 2121개, 2008년에는 1297개, 2009년에는 737개, 작년에는 908개 하는 식으로 증가율이 낮아지기 시작했다. 2006년에 하루 6~7개의 우리 기업들이 중국으로 회사나 공장을 옮겨갔지만, 최근 들어서는 하루 2~3개 정도의 우리 기업들이 중국으로 옮겨가고 있을 뿐이다.

- 2008년 5월 저녁 칭다오 샹그릴라호텔에서 열린 ‘산둥성 진출 기업인 초청 리셉션’에서 중국진출 기업인들이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말을 경청하고 있다.
- 2008년 5월 저녁 칭다오 샹그릴라호텔에서 열린 ‘산둥성 진출 기업인 초청 리셉션’에서 중국진출 기업인들이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말을 경청하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 전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숫자는 2010년 말 현재 모두 2만1016개라고 KOTRA는 집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절반 정도인 1만여개의 한국기업들이 칭다오에서 사업을 하고 있다고 한다. 이른바 한국 내에서 이런저런 이유로 마지널(marginal)한 입장에 몰려 칭다오로 건너간 기업들이 대부분인데, 이들 1만여개의 한국기업들이 또다시 칭다오를 떠나 머나먼 서부 지역 쓰촨성이나 후베이성, 아니면 아예 중국을 떠나 중국보다 인건비가 싸고 각종 여건이 나은 베트남이나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 또 다른 제3국으로 옮겨가야 하는지를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다.



칭다오에 진출한 한국기업 사장님들은 그동안 한국에서는 받아보지 못하던 대우를 받고, 살맛나는 인생을 경험하면서 살아왔다. 한국에서 세무서는 물론이고, 경찰서, 소방서, 환경 담당 공무원들로부터 말 그대로 ‘시달림’만 받으며 살아오다가 칭다오로 옮긴 뒤에는 “이런 대접도 받으면서 살 수 있구나”하는 말을 하며 즐거운 인생을 살아왔다. 산둥성 인민정부에서, 칭다오시 인민정부에서 춘절이나 정부수립 기념일 같은 명절 때면 파티에 참석해달라고 초청장 보내지, 달력 보내주지, 은행에 가면 VIP 대우 받지, 호텔에서도 식당에서도 한국에서는 이른바 ‘센 사람’들이나 받는 대우를 받으면서 사는 재미가 쏠쏠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그런 대우도 시큰둥해지고, 각종 우대 규정들이 사라지면서, 인건비마저 빠른 속도로 높아져, 이제는 장부의 수지를 맞추려면, 서부로 옮겨가야 하는 입장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가 최근 베이징을 중심으로 한 중국내 186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올해의 기업경영 부담요인으로 첫째, 임금상승과 노무관리(28.2%), 둘째 원자재와 부품난(25.2%), 셋째 경쟁 심화(11.7%)를 들었다. 특히 주목해야 하는 점은, 중국에 진출한 우리 대기업들은 주 경쟁상대로 첫째 중국 현지기업(48.6%), 다음으로 중국에 진출한 선진 글로벌 기업(40.4%), 그리고 같은 한국기업(11.4%)이라고 답했고, 중국 진출 우리 중소기업들은 주 경쟁상대로 첫째 중국 현지기업(60.1%), 다음이 선진 글로벌 기업(15.5%), 같은 한국기업(12.8%)의 순으로 지목했다.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이나 다 같이 중국 현지기업을 주 경쟁상대로 전쟁을 벌이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 앞에 이제는 선진 글로벌 기업보다도 중국 현지기업들이 근육을 과시하며 떡 버티고 선 모습으로 나타나는 동안 한국과 중국의 경제교류의 구조도 크게 바뀌었다. 1992년 수교하던 해에 한국에서 중국으로 수출한 10대 품목은, 무역협회 조사에 따르면 석유화학, 철판, 철강, 가죽, 인조섬유, 인조직물, 종이제품, 섬유기계, 유기화학 등 주로 공업제품이었고, 같은 해에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한 10대 품목은 곡물, 원유, 요업제품, 섬유직물, 석탄, 견직물, 식물원료, 철강제품, 면직물 등 농산물과 옷감, 광산물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 중국 칭다오 한 한국 의류업체에서 여성 근로자들이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 중국 칭다오 한 한국 의류업체에서 여성 근로자들이 작업에 열중하고 있다.

그러나 수교 후 18년이 지난 2010년 한국에서 중국으로 수출한 10대 수출품은 모니터, D램, 텔레비전 부품, 테레프탈산, 제트연료유, 벙커C유, 집적회로 등이었고, 중국에서 한국으로 수출한 10대 수출품도 자동 자료처리기, D램, 화물선, 휴대전화 부품, 점화용 와이어링, 텔레비전 부품, 모노리식 집적회로, 액정모니터, 무연탄 등으로 서로 비슷했다. 이제는 한국에서 중국으로 보내는 수출품이나, 중국에서 한국으로 보내는 수출품의 내용물이 비슷하게 된 것이다.



스티븐 록(Stephen Rock)이라는 미국의 국제정치학자가 제시한 이론에 따르면, 두 나라의 경제활동이 서로 이질적(heterogeneous)일 때, 다시 말해 1992년의 한국과 중국처럼 서로 상대국으로 수출하는 수출품의 내용이 한쪽은 공업제품이고, 다른 쪽은 농산물, 광산물 등일 때, 두 나라 외교관계는 평화적인 관계로 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두 나라의 경제활동 내용이 서로 동질적(homogeneous)일 때, 다시 말해 요즘처럼 한국과 중국의 수출품 내용이 비슷한 상황일 때, 두 나라 사이의 평화는 유지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스티븐 록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세계의 최강대국이 영국에서 미국으로 바뀔 때 영국과 미국 사이에 전쟁이 발생하지 않은 이유 가운데 하나도 당시 영국과 미국의 경제활동 내용이 서로 이질적이었기 때문에 평화가 유지될 수 있었다고 예시하기도 했다.



1992년 한국과 중국이 수교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의 실력자 덩샤오핑이 1985년부터 “우리 중국의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하루빨리 한국과 수교를 해야 한다”고 당시 첸치천 외교부장을 재촉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첸 부장은 그의 회고록 ‘외교십기(外交十記)’에서 밝히고 있다. 당시 이른바 ‘사소룡(四小龍)’의 하나로 불리며 잘나가던 한국경제를 활용하기 위해 이뤄진 것이 한중수교라는 말이다. 그런 덩샤오핑의 구상대로 중국은 한국을 활용해서 경제발전을 이루는 데 성공했고, 18년이 지난 지금 한국과 중국은 서로 경쟁적인 경제구조를 갖게 됐다. 1992년 수교 당시 미국과 중국이 서로 사이가 좋았던 국제정치적 환경이 요즘은 서로 견제하는 구도로 바뀐 것을 따지지 않고, 순전히 경제적인 교류의 내용만으로도 앞으로 한중관계는 삐걱거릴 가능성이 많아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