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7년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정상회담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 트위터 캡처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7년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정상회담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 트위터 캡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오는 16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고 백악관이 6월 28일(현지시각) 발표했다.

미․러 양국 정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지난해 1월 이후 다자 회담 등을 통해 몇 차례 짧은 접촉을 한 적은 있지만 단독 정상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합의는 최근 러시아를 방문한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과 푸틴 대통령의 면담을 통해 이뤄졌다. 이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백악관에서 열린 주지사들과의 오찬에서 “미․러 정상회담을 다음 달에 개최할 수 있을지 가능성을 살피고 있다”고 말해 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피력한 바 있다.

이번 회담에서는 북한 비핵화와 미국의 러시아 제재, 우크라이나와 시리아 사태 등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러시아의 대선 개입 의혹에 대해 미국 내에서 정치 공세에 시달리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회담을 통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일각에서는 냉전 시절인 1972년 미국이 소위 ‘신동맹’으로 불리는 중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통해 소련을 고립시켰던 것처럼, 이번에는 러시아와 동맹 강화를 통해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려 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마침 러시아 정가에서도 미국과 손잡고 중국을 견제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반면 러시아와 관계 회복이 전격적으로 이뤄질 경우 대선 개입 의혹 역풍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부담 요인이다. 특히 불공정 무역을 이유로 유럽연합(EU)과 캐나다 등 오랜 동맹국들과 마찰을 빚고 있어서 트럼프 입장에서도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미국과 러시아의 관계 개선을 통해 가장 기대되는 소득은 대북 압박이다. 공산주의 종주국이자 과거 북한의 후견국이었던 러시아가 나설 경우 북한 비핵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소련 붕괴 이후 북한에 대한 러시아의 입김이 중국에 비해 크게 줄어든 것이 사실이지만 군수산업 분야에서 러시아는 만만치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중국을 세 차례나 방문한 것에 자극받은 러시아도 북한에 대한 영향력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이 있다.

미․러 정상회담의 또 다른 주요 의제는 러시아 경제제재 완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을 독재자로 간주하는 서방 지도자들과 달리 협상 대상으로 보고 있어 극적인 돌파구가 마련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