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 국가들이 물량 부족으로 1차와 2차 접종 간격을 두 배가량 늘려 1차 접종자를 확대하는 카드를 꺼내 들었다.
백신 제조사인 화이자가 권장하는 백신 1, 2차 접종 간격은 3주다. 1차 접종을 하고 3주 뒤 효능과 지속력을 높이기 위해 2차 접종을 해야 한다. 미국·캐나다 등은 이에 맞춰 1월 4일(이하 현지시각) 2차 접종을 시작했다. 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 병원 앞에 백신을 맞으려는 사람들이 줄을 서 있다(큰 사진). 반면 유럽연합(EU)의 규제 당국인 유럽의약품청(EMA)은 백신 접종 간격을 6주로 권장한다. 이에 덴마크는 화이자 접종 간격을 6주로 늘렸고, 독일도 이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영국은 백신 접종 간격을 최대 12주로 늘렸다. 2회 접종이 필요한 백신의 경우 1, 2차 접종 간격이 늘어날수록 한정된 물량으로 접종할 수 있는 1차 접종자가 늘어난다.
세계보건기구(WHO·사진1) 자문단은 지난 5일 화이자 백신의 1, 2차 접종 간격을 백신 공급에 제약이 있는 등 예외적인 상황에 한해 최대 6주까지 연장해도 된다는 조항을 신설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화이자(사진2)와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권고안과 다른 1, 2차 접종 간격 확대 방안에 반대하고 있다. 화이자는 4일 성명을 내고 “임상 참가자들은 연구 설계에서 명시된 기간인 3주 내에 2차 접종을 받았고, 이와 다른 접종 일정에 따른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같은 날 FDA도 “승인된 방식을 따라야 한다”고 했다.
이번주 인기 기사
-
G마켓 신화 쓴 구영배 큐텐 대표 티몬 인수 도전장⋯이커머스 판 흔드나
-
[르포] 카카오 판교 신사옥 ‘아지트’ 가보니 “1층에만 20개 유통 브랜드 입점…쇼핑몰이야, 회사야”
-
부동산 돋보기 철마는 달리고 싶다…GTX발 부동산 효과 언제쯤 가능할까
-
<BOOK IN BOOK> 2022년 하반기, 일본 여행 가이드 힐링 또는 관광 여행 선택, 엔저 효과로 ‘싼 여행’은 덤
-
황부영의 브랜드 & 트렌드 <26> 관광 마케팅에서 기업 브랜딩으로 진화한 헤리티지 브랜딩 <1>
-
노동 시장 판 바꾸는 대퇴직 시대 ‘귀한 몸’ 된 HR테크 팬데믹이 만든 대퇴직 행렬…HR테크, 新근무 패턴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