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일 로저스 등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학생 4명은 세계 최초의 무인 전자동 레스토랑 ‘스파이스 키친(Spyce Kitchen)’으로 2016년 4월 전미 발명 경진 대회 ‘레멜슨-MIT’상 대학생 부문을 수상했다. 스파이스 키친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이나 기계에 달린 터치스크린을 누르면 로봇 셰프가 고기·야채 등 식재료를 가공해 5분 내에 완성된 요리를 선보인다. 현재 MIT 케임브리지 캠퍼스 학생 식당에서 코코넛 카레 등 5가지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며, 보스턴 지역 대학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 경제 전문 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사람의 노동력 없이 값싼 가격으로 영양가 있는 음식을 제조할 수 있다면 패스트푸드 산업에 혁명을 몰고 올 것”이라고 했다. 스파이스 키친 같은 학내 창업에 힘입어 MIT 동문(재학생·졸업생) 100명당 창업 기업 수는 1970년대 6.9개에서 2010년대 18개(추정치)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전 세계 3만개 이상의 MIT 동문 창업 기업이 창출한 경제적 가치(매출+연관 일자리 창출)는 1조9000억달러. 2016년 명목 국내총생산(GDP) 세계 8위인 이탈리아(1조8507억달러)보다도 크다.

일본 교토대 학내 벤처로 출발한 GLM은 일본의 ‘테슬라’로 불리는 전기자동차 회사다. 교토대 출신 고마 히로야스(小間裕康) 창업자와 도요타·닛산 출신 엔지니어들이 함께 일하고 있다. GLM은 오는 2019년 4인승 전기차 G4를 출시해 아시아·중동 전기차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G4는 한 번 충전으로 400㎞를 달릴 수 있고 최대 출력이 540마력에 달한다.

MIT·교토대·조지아공대·취리히연방공대·칭화대·싱가포르국립대 등 글로벌 이공계 대학이 로봇, 인공지능, 전기자동차, 헬스케어 등 미래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창업 사관학교’로 거듭나고 있다.

미국 조지아공대는 ‘혁신 기술 사업화하기(TI:GER)’ 프로그램을 운영해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고 실제 제품 출시 단계까지 지원한다. 2015년 TI:GER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덴마크 코펜하겐비즈니스스쿨과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글로벌 협업 능력을 키웠다.


해외 이공계 대학, 학내 창업 ‘붐’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는 2016년 10월 취리히 인근 클로텐에서 25국, 56팀이 참여한 가운데 ‘사이배슬론(CYBATHLON)’이라는 세계 최초의 사이보그(신체 일부를 로봇으로 대신한 사람) 올림픽을 열었다. 장애인 선수가 로봇의 도움을 받아 컴퓨터 자동차 게임, 자전거 경주, 로봇의족 달리기 등 6가지 종목을 겨루는 대회다.

중국을 대표로 한 아시아 대학들도 활발하다. 칭화대는 2016년 3월 미국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투자자인 피터 틸 페이팔 공동 창업자 등을 강사로 초청해 1학점짜리 ‘스타트업 싱킹(Start-Up Thinking)’이라는 과목을 진행했다.

싱가포르국립대는 창업가를 양성하기 위해 6~12개월짜리 해외 스타트업 인턴십 프로그램(NUS Overseas College·NOC)을 운영 중이다.

교과서 속 낡은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산업계가 요구하는 기술·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인큐베이터’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프랭크 루레디 영국 켄트대 교수(사회학)는 “(세상을 바꿀 기술을 보유한) 대학생들이 창업한 스타트업(신생 벤처)은 전통 비즈니스(대기업)보다 더욱 빠르게 기술 혁신을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해외 유명 대학의 사례는 한국 대학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던진다. 강성모 UC산타크루스 전기공학과 석좌교수는 “한국 이공계 대학도 학생·교수·기업의 공동 프로젝트를 장려하고, 창업 성공한 동문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