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사장
‘국민 생수’ 제주삼다수를 생산·판매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는 창립 이후 누적 당기순이익의 약 43%인 누적 금액 2560억원을 지역 사회에 환원했다. 공사는 제주 청정 자원으로 가치를 창출해 환경, 사회, 인재 육성, 복지 향상 등 도민 전체의 이익을 위한 다양한 공익사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도내 공기업에서는 처음으로 주민참여예산제를 시행하고, 사회공헌 사업 모델을 발굴하는 ‘제주삼다수 해피플러스(Happy+)’ 공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 주택을 매입해 취약 계층에 임대하는 매입임대주택 사업과 행복주택 사업을 펼치고, 가공용 감귤 수매를 통해 감귤 가격 안정과 농가를 보호하는 정책도 진행 중이다.
제주삼다수의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전 과정에 걸쳐 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하는 친환경 경영을 통한 지속 가능한 미래 실현에도 힘쓰고 있다. 제품 경량화와 포장 재질 개선을 통해 자원 순환이 용이한 제품을 만든다. 제주 전역 16곳에 페트병 자동수거보상기도 운용 중이다.
김정학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사장은 “창립 25주년을 맞이한 공사는 ‘어려운 사람들의 기둥이 되는 제주개발공사형 사회공헌 사업’을 8대 중점 추진 전략에 포함했다”며 “공사의 업(業)과 연계된 사회공헌 사업을 추진해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고,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 및 단체와 협업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했다.
ⓒ 조선경제아이 & economychosun.com
이번주 인기 기사
-
부동산 돋보기 서울 핵심 아파트 잔뜩 생산한 공유수면매립법
-
학원가로 변신한 마포 ‘제 2의 대치동’ 꿈꾸는 마포⋯학원가 임대료 1년 새 18% ‘쑥’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유럽 출장 후 경영전략회의 재개 반도체·AI·바이오 新먹거리 찾는 이재용 “기술 초격차” 강조
-
이스라엘 최고 정보부대 前 사령관 나다브 자프리르 팀8 창업자의 경고 “기업이 아무리 돈 써도 100% 보안은 없어…CEO가 직접 챙겨야”
-
[Interview] 74세에 수영복 표지모델 발탁 일론 머스크 母 “여성들이여 SNS에 써라, 당신이 얼마나 멋진지”
-
[르포] K바이오 프로젝트, 홍릉강소특구를 가다 “산·학·연·병원에 주거까지…기술·인력 키우는 클러스터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