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TV조선
사진 TV조선

간절히 바라던 무대였다. 2016년 트로트 앨범 ‘미워요’로 데뷔한 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버스킹(길거리 공연)을 하며 사람들 앞에 서기도 했다. 하지만 트로트를 부르는 순간 뿔뿔이 흩어지는 청중들. 떠나가는 이를 붙잡아 보고 애걸도 해봤지만 돌아오는 건 냉정한 뒷모습뿐. 언젠간 내 노래를 들어주고 알아주겠지, 했다가도 노래를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했던 시간이 있었다.

시청자를 향해 큰절을 올리는 임영웅(29)은 어깨로 울고 있었다. TV조선 ‘내일은 미스터트롯(이하 미스터트롯)’ 1대 진(眞)의 주인공. 시청자 앞에 선 3개월간의 여정, 아니 노래를 시작한 그 순간부터의 시간이 그의 머릿속을 빠르게 지나갔을 것이다. 아니, 어쩌면 짧게나마 아버지와 함께 보냈던 즐거웠던 어린 시절을 머릿속에 떠올리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다섯 살 때 자신의 곁을 떠난 아버지 기일에 맞았던 결승. 애틋함이란 건, 추억의 산술적 시간에 비례하지 않는다. 그리움은 산이 되어 그에게 감정이란 해일을 일으키고 시청자의 마음을 집어 삼켰다.

그는 목소리로 시를 썼다. 그가 말하듯, 속삭이는 듯 읊조리는 단어 마디마디, 가슴속에 내려앉아 듣는 이의 마음의 상처를 부드럽고 유려하게 어루만졌다. 담담했기에 더 절절하고, 담백했기에 더 가슴 미어졌다. 마음껏 울어도 된다고, 이젠 괜찮아질 거라고, 고생 많았다고, 그는 목소리로 우리의 어깨를 감싸 안았다. 세상의 고통을 온몸으로 겪어낸 뒤, 가장 정제되고 절제된 음성으로 세상에 화해의 손짓을 보내고, 때로는 폭발력 있는 목소리로 마음속 응어리에 호소했던 임영웅. 그가 건네는 섬세한 숨결, 손짓 하나, 눈빛 하나를 통해 그는 최고의 장면을 연출하며 임영웅이 써 내려가는 영웅적 드라마를 완성해가고 있었다.

사실 최고의 실력과 기량을 보여줘야 할 결승 무대는 최상의 컨디션이 아니었다. 인터뷰 날도 목 디스크 증상으로 침 100대를 맞고 왔다고 했다. 하지만 “그냥 피가 좀 많이 났을 뿐, 괜찮다. 아프지 않다”는 말만 반복했다. “가수 데뷔하면서 수첩에 ‘2020년 엄마 생일에 1억 주기’란 메모를 했었는데, 돌이켜보니 신기해서 깜짝 놀랐다”는 그는 “‘아직 내가 꿈을 포기하지 않아도 되는구나’라는 생각에 울컥했다”고 말했다. “행복했으며, 상처도 받고, 그만큼 힘들었기에 지나간 세월이 더 아름답고 극적으로 느껴지기도 한다”면서.

임영웅은 처음부터 가수의 꿈을 꿨던 건 아니었다. 어릴 적 친구들이 노래 좀 한다며 ‘진달래꽃(마야 노래)’이란 별명을 붙여주긴 했지만 그때뿐이었다. 어려웠던 형편에 고등학교 때부터 공장 아르바이트를 다녔다. 조금이라도 집에 보탬이 되고 싶었다. “고2 때 취업반으로 가면서 실용음악학원에 다니게 됐고 음악에 눈을 떴어요. 그때까지만해도 노래하면서 돈을 벌 수도 있다는 걸 생각도 못 했어요.”


서러운 무명 시절 지나 스타로 우뚝

2015년 포천 시민가요제 최우수상 등을 포함해 여러 가요제를 석권했다. “‘미워요/소나기’라는 디지털 싱글앨범으로 데뷔했는데, 다소 발라드 느낌이었지요. 신인 가수가 그런 걸로 시작해서는 솔직히, 당장 굶어 죽을 것 같더라고요. 신나는 노래가 있어야 행사에서 차비라도 주고 불러주지, 버틸 힘이 없었어요. 작은 무대라도 있으면 바로 찾아갔습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유튜브도 시작했다.  

미스터트롯에서 그는 첫 등장부터 돌풍을 일으켰다. 홀어머니를 떠올리며 불렀다는 ‘바램(원곡자 노사연)’을 시작으로 정통 트로트 장르에 도전한 조용필의 ‘일편단심 민들레야’로 화제가 됐다. 레전드 미션곡 ‘보라빛 엽서’ 때는 원곡자인 설운도가 “영웅씨에게 배울 점이 있다. 저렇게 가슴 찡하게 부르도록 노력하겠다”고 극찬했다. 그에게 미스터트롯은 꿈처럼 찾아온 선물 같다. “아무것도 없었는데, 거의 무명이나 다름없었는데, 사람들이 많이 알아주시고 제 음악을 많은 분이 들어주시고. 정말 좋지요. 아직도 꿈꾸는 것 같아요.”

그는 지독한 연습벌레다. 강약 조절, 호흡 등 수만 개 조합 중에서 최적의 소리를 찾은 뒤 몸에 익을 때까지 연습했다. 10시간 넘는 연습. “떨지 않는 것처럼 보여도 엄청 떨렸거든요. 너무 긴장되고, 한 무대마다 너무 죽을 거 같고, 바들바들 떨리는데 겉으로는 그걸 안정된 것처럼 해야 뭔가 컨트롤이 된 거 같아 보이니까, 안 그런 척 연기한다고 한 건데.” 그렇다고 형식에만 얽매인 것도 아니다. 트로트가 트로트다워야 한다는 것도 어쩌면 편견일 수 있다. 그는 형식적 완성도를 넘어 임영웅식 감성적 트로트의 세계를 구축해왔다. 기계처럼 보일 법한 그의 완벽주의에 사람 향기가 배어있는 건 체온이 느껴지는 그의 목소리가 주는 힘이다. 인생을 걸고 나온 프로그램이었다. 절실했기에 그의 어깨는 점점 더 무거워져만 갔다. 당장에라도 떨어질 수 있다는 생각은 항상 그를 엄습했다. 기쁨의 눈물을 흘렸던 만큼, 상처도 입었다. 트로트를 제대로 보여줄 수 있는데도, 잘할 수 있는데도, 사람들은 너무 쉽게 그의 심장에 말로 칼을 꽂았다.

그가 최고의 무대로 꼽는 ‘트롯에이드’ 에이스전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원곡자 김목경)’는 임영웅에게 또 다른 해탈의 순간이 됐다. 3명의 다른 팀원 인생까지 걸린 경연. 무게감이 다를 수밖에 없었다. ‘그냥’ 잘해서는 만족할 수 없었다. 연습 또 연습. 이전보다 더 낫게 들릴 수 없을까, 고민에 잠을 이룰 수 없었다. 마치 막다른 골목에 갇혀 숨이 턱 막히는 것 같다고 생각할 즈음, 마이크로 쫘악 빨려드는 소리에 귀가 트였다. 평소 즐겨 부르던 휘파람이었다. 그때 깨달았다. 살길은 자신 안에 있었다는 것을. 놓아버릴까 하는 순간에 스스로를 다잡으며 포기하지 않고 걸어왔던 축적된 시간은 혼돈 속에 길잡이가 돼 그를 인도하고 있었다.

그가 부른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는 공식 유튜브에서만 1310만여 조회수를 기록했다.

미스터트롯은 노래를 포기할까 좌절했던 시절에 대한 보상이었고, 사람들 앞에 서기 미안했던 얼굴 상처를 스스로 받아들이게 했다. 그의 고향인 경기도 포천 거리는 요즘 임영웅 축하 플래카드로 가득하다. 어디로 향하든 그를 알아보는 이들로 가득하다. 위인전 한 토막 같은 그의 미스터트롯 서사가 ‘영웅신화’로 승화할 수 있을까. 그는 말한다. 어제도, 오늘도 그랬듯, 내일도 변함없이 노래하겠다고. 임영웅은 임영웅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