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찌의 2018 F/W 컬렉션 런웨이. 보통의 런웨이와 달리 초록색 수술실 콘셉트로 꾸몄다. / 구찌
구찌의 2018 F/W 컬렉션 런웨이. 보통의 런웨이와 달리 초록색 수술실 콘셉트로 꾸몄다. / 구찌

초록색 수술실에 괴물들이 나타났다. 창백한 무영등 아래 수술대가 덩그라니 놓인 구찌의 ‘2018 F/W 컬렉션’ 현장. 심장박동 모니터의 규칙적인 전자음이 르네상스 시대의 성스러운 종교 음악과 뒤섞여 울려 퍼지는 가운데 이마나 손등에 제3의 눈을 달고 머리엔 뿔이 돋아난 모델들이 워킹을 했다. 핸드백 대신 자신과 꼭 닮은 모습의 머리통을 한 손에 든 이들도 있었다. 요정처럼 아름다운 모델들이 패션이라는 환상의 마법 가루를 뿌리던 런웨이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

이 기묘한 풍경은 ‘괴물들의 서커스’로 불렸던 프릭쇼(Freak Show)를 연상시킨다. 오래전 유럽에서는 기형적인 외모의 사람들을 전시하는 프릭쇼가 유행했다. 다발성 신경섬유종 질환으로 피부가 코끼리처럼 울퉁불퉁해진 엘리펀트 맨, 발가락과 손가락이 집게발처럼 벌어진 랍스터 보이, 네 발로 걷는 낙타 소녀, 난쟁이, 샴 쌍둥이… 일부러 온몸에 문신을 새기거나 피어싱을 해 괴물의 대열에 합류한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강제적으로 서커스에 동원됐다. 프릭쇼는 유럽뿐 아니라 1950년대까지 미국에서도 꽤 인기를 끌었지만, 인권 문제가 대두되면서 야만의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1세기 패션계에 등장한 프릭쇼는 과거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남과 다르다는 이유로 구경거리가 돼야 했다면, 이번엔 그러하기 때문에 디자이너들의 뮤즈가 돼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다. 이형의 존재에 매력을 느낀 건 구찌의 수장 알레산드로 미켈레뿐만이 아니다. 올해 초 트리엔날레 밀라노 디자인 박물관에서 열린 패션 디자이너 릭 오웬스의 첫번째 회고전은 제목부터 의미심장하다. ‘하등인, 비인간, 초인(Subhuman, Inhuman, Superhuman)’전에서 릭 오웬스는 “세상이 무시하고 조롱하는 것을 받아들이고 공감하며 포용할 수 있는 무언가를 창조해내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머리카락과 아드리아 해변의 모래, 콘크리트, 백합꽃 등으로 만든 거대한 조형물과 ‘고딕 시크’를 탄생시킨 전위적인 의상들을 선보였다.

주류 문화의 엄숙주의(嚴肅主義)에 도전하는 컬트 패션으로 펑크족들을 열광시킨 영국의 괴짜 할머니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또 어떤가. 비비안 웨스트우드 쇼에서는 몸에 잔뜩 낙서를 하고 얼룩진 화장을 한 모델들이 런웨이 한복판에서 광대짓을 벌이는 모습을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베트멍과 발렌시아가 쇼의 스타일링을 책임지는 로타 볼코바는 질질 끌리는 긴 소맷단과 빌려 입은 듯한 오버 사이즈 코트 등 멋의 통념을 깨는 뒤죽박죽 스타일링의 진수를 보여준다. 러시아 태생의 이 수퍼 스타일리스트는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된 1991년 전후로 러시아와 동유럽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한 ‘고프닉(Gopnik)’과 같은 반항적인 유스 컬처의 미학을 유럽 패션에 접목시켜 개성을 강조한다.


구찌 2018 F/W 컬렉션에서 핸드백 대신 자신의 머리 모형을 든 모델. / 구찌
구찌 2018 F/W 컬렉션에서 핸드백 대신 자신의 머리 모형을 든 모델. / 구찌

패션계, 우월·열등 편가르기 거부

패션은 보수적인 주류 사회의 통념을 거부하고 가장 아름답고 평화로운 방법으로 미래의 대안을 제시한다. 미지의 대륙을 탐험하던 콜럼버스처럼 늘 새로운 영감을 찾아 헤매온 패션 디자이너들은 이미 100년 전 코르셋을 던져버리고 모더니즘의 새 시대를 열었다. 이제 그들은 한때 괴물이라 불렸던 다른 존재들을 주목한다.

우월한 것과 열등한 것을 나누는 기존의 위계적 이원론은 빠른 속도로 붕괴되고 있다. 적어도 패션계에서만큼은 그렇다. 앞서 언급한 알레산드로 미켈레는 미국의 페미니스트 사상가 도나 헤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1984)’에서 이번 구찌 컬렉션을 착안했다. 여기서 말하는 사이보그는 인간이 만들어낸 기계 인간이 아니라 성차별을 극복하는 사회·정치적 상징이다. 성별, 나이, 인종, 심지어 기계와 유기체의 구분조차 모호한 사이보그는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프랑켄슈타인 박사가 된 디자이너는 수술실로 꾸민 런웨이에서 상상 속의 괴물을 창조했다. 다종 간의 결합으로 완성된 이 신인류는 패션의 한계를 지운다.

알레산드로 미켈레는 인간의 이성과 과학을 믿었던 르네상스 시대 예술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흑사병과 마녀사냥의 광기가 한바탕 중세 유럽을 휩쓸고 난 후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한 것처럼 오늘날의 디자이너와 예술가들은 과거의 유산을 통해 또 다른 가능성과 희망을 찾는다. 구찌의 2018 봄 캠페인에서 디지털 페인팅 아티스트 이그나시 몬레알은 15~16세기 네덜란드 화가 히에로니무스 보스의 작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짐 모리슨에 의해 ‘바보들의 배’라는 노래로 만들어지기도 했던 보스의 그림 속엔 반인반수 등 기이한 생명체들이 가득하다. 무한한 상상력으로 천국과 지옥을 넘나드는 이 위대한 화가는 살바도르 달리 등 초현실주의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줬다. 보스 서거 500주년을 기념해 2016년 초연된 ‘보스 드림스’는 보스의 작품이 여전히 유효한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괴물은 언제나 동화 속의 주인공이었다. 차별이 만연한 잔혹한 현실과 달리 무한한 상상의 세계에서 그들은 자유롭게 하늘을 날고 사랑을 했다. 그로테스크한 판타지 영화의 거장 기예모르 델 토로 감독은 ‘셰이프 오브 워터’에서 양서류 인간과 언어 장애를 지닌 청소부의 종을 초월한 사랑을 다뤘다. 그는 “냉소주의 시대의 치유제가 돼 줄 수 있는 희망과 구원에 대한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정상과 비정상,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늙음과 젊음, 아름다움과 추함으로 끊임없이 선을 긋고 서로를 소외시키는 동안 세상은 재미를 잃었다. 반면 패션쇼장에 나타난 괴물들은 멋과 여유가 넘친다. 비주류로 불리던 모든 것들이야말로 지금의 패션계를 움직이는 힘이다. 천편일률적인 주류의 문화에서 벗어나 각자의 매력을 발휘한다. 고루한 편견과 재미없는 일상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킬 구원자, 괴물들의 세상이 왔다.


▒ 이미혜
패션·미술 칼럼니스트, 문화기획자, 보그코리아 컨트리뷰팅 에디터


Keyword

고프닉(Gopnik) 러시아와 동유럽 저소득 계층 젊은이들 사이의 서브 컬처로 아디다스 트랙수트와 러시아 군복, 구제 가죽 재킷, 뉴스보이 캡 등이 고프닉의 전형적인 패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