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세 청춘 배우 신구. 지난 9일 대학로에서 막을 내린 연극 ‘장수상회’에서 까칠한 신사 성칠을 연기했다. 70세 첫사랑의 로맨스를 그린 연극 ‘장수상회’는 전국 순회공연을 준비 중이다. 사진 이진한 기자
82세 청춘 배우 신구. 지난 9일 대학로에서 막을 내린 연극 ‘장수상회’에서 까칠한 신사 성칠을 연기했다. 70세 첫사랑의 로맨스를 그린 연극 ‘장수상회’는 전국 순회공연을 준비 중이다. 사진 이진한 기자

배우 신구를 만나러 대학로 연극공연장을 찾았다. 기억을 잃어가는 노부부의 로맨스를 그린 ‘장수상회’라는 연극이 연일 매진이라 극장은 초만원이었다. 유치원생 아이부터 팔짱 낀 연인, 손을 꼭 잡은 노부부까지, 로비는 발 디딜 틈이 없었다. 대학로 공연장이 이토록 붐비는 걸 본 건, 몇 년 만에 처음이다.

무대에 선 82세 신구의 몸은 날렵하고 노련했다. 객석까지의 거리를 계산해서 출력한 그의 목소리는 때로 공기의 허를 찔러 기습했고, 때로 보드라운 감촉을 남기며 결을 따라 번져갔다. 반백 년 넘게 오로지 연기를 위해 사용된 그의 신체와 육성, 그의 테크닉과 순발력은 숭고와 완벽을 드러내기보다 자연적이고 순항적이어서 바라보는 관객을 압도하지 않았다. 아무도 탄성을 지르지 않았고, 그저 그의 장단에 맞춰 낄낄대고 웃었으나, 불이 꺼진 후엔 모두 다 조용히 흐느꼈다.

분장실에서 무심히 화장을 지우는 그를 향해 사진 기자가 셔터를 눌렀다. 거울 앞에 선 노배우의 맨얼굴엔 약간의 피로와 쓸쓸함이 묻어났다. TV 드라마에서 그의 얼굴을 볼 때마다, 나는 통증이나 슬픔을 삭힌 포유류 같다는 생각을 했다. 비명을 참는 것이 아니라 오래전 비명을 삼켜버린 얼굴. 소주 한잔 곁들이며 인터뷰하기로 했던 터라 근처 선술집으로 자리를 옮겼다. 은쟁반에 배달된 소주병을 보자 막대사탕을 본 아이처럼 해맑게 웃었다.


무대에 등장하는 첫 장면부터 리드미컬하게 걸어서 깜짝 놀랐다. 평소에 많이 걷나.
“한 번 걸으면 6㎞ 이상 걷는다. 일주일에 세 번 이상 운동한다. 다리 힘이 필요해서 근육 운동도 열심히 한다. 보약 먹으며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나는 밥 먹듯이 운동한다. 현장에 있으려고.”

그 많은 대사는 대체 어떻게 외우나.
“암기 못 하면 못 하는 일이니까. 연극배우들이 암기력이 좋다. 그래도 팔십 넘으니 기억력이 쇠퇴하는 건 피할 수 없어서 같은 분량도 대본 들고 씨름하는 시간이 길어진다. 별수 있나. 무조건 대본을 본다. 닳도록.”

신구라는 이름에 뭔가 특별함이 있는 듯하다.
“신구는 연극계 원로이신 동랑 유치진 선생이 지어주셨다. 본명은 순기다. 성씨인 신에 오랠 구 자를 붙어주셨는데 당시엔 어려워서 이유를 못 물어봤다. 오래 하란 뜻이었을 듯싶다.”

100세 시대에 오래 일하는 건 모든 인간의 꿈이다. 반백 년 넘게 어떤 마음으로 일했나.
“종교는 없지만 도 닦는 마음으로 했다. 구도의 심정이랄까. 영화와 TV, 연극은 조금씩 다르다. 영화와 TV는 카메라 앞이라 변수가 많지만, 연극은 일정 시간의 연습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저 진이 빠지도록 연습한 게 정직하게 나오는 작업이다. 재산을 모으는 일도 아니고 그냥 내가 좋아서 했다. 오래 할 수 있었던 건 매번 ‘충분한 연습’ 덕분이었다. 젊을 때 유치진 선생에게 배운 말씀이 아직 귀에 남아 있어 허투루 할 수가 없다.”

이번에도 이순재 선생과 더블 캐스팅이다. 연극 무대에 동지로 서 있으니 외롭지 않겠다.
“젊을 땐 TV나 영화에서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다. 나이 들어 ‘황금연못’ ‘앙리 할아버지와 나’ 그리고 이번에 ‘장수상회’까지 세 작품을 같이하고 있으니 좋다. 그분이 우리나라 톱 중의 톱이다. 방송인 송해 선생을 제외하면 나이로도 톱이다.”

두 사람은 연기 스타일도 외모도 다르다. 이순재 선생의 발음이 선명하게 직진한다면, 선생은 공기 반 소리 반의 호흡법이 탁월한 편인데.
“연기는 발음도 중요하지만, 소리의 높낮이를 운영하는 게 관건이다. 혀를 입천장에 붙이느냐 이 사이에 닿게 하느냐…. 입안에서 혀를 어떻게 놀리는가는 오직 노력만으로 된다.”

공기의 허를 찌르는 화법이 쉽게 나온 게 아닌 듯하다.
“대화는 에너지의 흐름이다. 소리가 공기 중에서 퍼질 때 위아래 진폭을 갖는다. 그 에너지를 섬세하게 조절한다. 음성이 크다고 유리하지 않다. 맥시멈으로 소리를 올리면 앞에서 듣는 사람은 귀가 아프다. 압축하고 풀면서 리듬을 타야 한다. 상대역으로 출연 중인 손숙, 박정수씨도 호흡이 다 다르다. 대화는 톱니바퀴와 같다. 공기 중에 소리의 길을 내고 높낮이를 타야 한다. 연습이 부족하면 무대에 같이 서 있어도 다른 시차에 있는 사람 같다.”

최근엔 젊은 시절보다 더 활동이 왕성하다. 예능, 드라마, 영화, 연극까지 장르를 불문하고 사랑받는 비결이 뭐라고 생각하나.
“개런티(출연료)가 싼 모양이다(웃음). 어제도 새벽 3시까지 허진호 감독 영화 ‘천문’을 찍었다. 세종과 장영실 사이를 잇는 황희 정승 역이다. 최근엔 다큐멘터리도 찍자고 했는데, 그건 거절했다. 지방 공연도 다녀야 하는데 시간도 부족하고, 무엇보다 더 욕심 사나워지면 안 되겠다 싶었다. 돌아보면 나는 그동안 이렇다 할 히트작도 없었다. 이순재씨는 청춘 영화도 많이 찍었는데, 나는 맨날 아저씨, 아버지, 농민 아니면 빈민이었다. 멜로드라마(통속극) 주인공도 한 번도 못 해봤다. 못 해봐서 부럽진 않다. 그저 신통할 뿐이지. 내가 한 아저씨와 아버지는 특성이 있었고, 그걸 세밀하게 살리려고 매번 노력했으니까.”

젊은 시절 하면 어떤 모습이 떠오르나. 고생을 많이 해서 웬만한 어려움은 이겨낼 수 있다고 했는데.
“(소주 한 잔 털어 넣으며) 참 가난했다. 가난해서 내 누이들은 학교에 제대로 못 갔고, 나만 경기중학교에 갔다. 내 부모님은 문맹이셨다. 그 양반들이 외아들인 나를 어떻게든 교육해보겠다고 애 많이 쓰셨지. 그런데 중학교 입학하면서 전쟁이 나서 학교는 입학할 때랑 졸업할 때만 가 봤다. 천막 치고 공부하고, 말도 못 하게 고생했다. 그래서 지금도 웬만한 건 다 참을 수 있다. 인내와 성실을 그때 배웠다.”

연기자의 덕목도 다르지 않다고 했다.
“최고의 연기자는 최고의 성실을 가진 자다. 재능은 큰 차이가 없다. 시간이 지나면 성실하게 노력한 사람이 남는다. 재능이 부족한 건 노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 반면 재능 믿고 까불다가 사라진 사람들을 나는 숱하게 봤다.”

그는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나왔다. 서울대 상대에 진학하려다 두 번 실패 후 성균관대에 들어갔다. 한때 아나운서에 뜻을 두고 교육원을 다녔지만 ‘남이 써준 원고 읽느니 배우 하는 게 낫겠다’는 생각으로 원로 연극인 유치진이 세운 남산 드라마센터 연극 아카데미 1기로 들어갔다. 26세 때 연극 ‘소’에서 처음으로 아버지 역을 맡으며 데뷔했다.


배우 신구는 “순간에 집중해 살려고 한다”며 “매번 지금이 제일 행복하다”고 말했다. 사진 이진한 기자
배우 신구는 “순간에 집중해 살려고 한다”며 “매번 지금이 제일 행복하다”고 말했다. 사진 이진한 기자

서울대 상대에 진학하려고 했던 건 다른 꿈이 있어서였나.
“상대에 가려고 했던 건 돈을 벌고 싶어서였다. 이 길을 선택한 데에 후회는 없다. 당시 유치진 선생이 세운 학교의 커리큘럼이 훌륭해서 동서양 연극사와 무용까지 다 배웠다. 내가 결정한 일이니 열심히 했는데 살다 보니 아버지로서는 낙제다(웃음). 오로지 일이 우선이었거든.”

연기는 자신의 육체와 감정을 쓰는 일이라 인성이 배어난다. 선생의 연기엔 약간의 체념과 화 그리고 무심한 엇박자 유머가 보인다. 실제 성격도 그러한가.
“그런 면이 있다. 생뚱맞게 창조할 수는 없는 노릇이거든. 집사람한테 소리 지르고 그럴 때가 종종 있다(웃음). 유머는 일종의 호흡이다. 반 호흡 미리 치느냐, 뒤로 가느냐의 차이랄까. 내가 해도 안 웃길 때가 있다. 핵심은 호흡이다.”

뭐니 뭐니 해도 최고의 한 수는 ‘니들이 게 맛을 알아?’였는데.
“롯데리아 광고였는데, 콘티(촬영 대본)도 카피도 아주 절묘했다. ‘노인과 바다’ 콘셉트였다. 망망대해에서 만선으로 시끌벅적한 큰 배의 선원들이 쪽배에 탄 늙은이를 비웃는다. 게 한 마리 들고 유유자적하니 우습겠지. 그런데 과연 ‘니들이 게 맛을 아냐고?(웃음)’ 이 말엔 인생의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배우 신구가 출연한 tvN의 ‘윤식당’. 사진 tvN
배우 신구가 출연한 tvN의 ‘윤식당’. 사진 tvN

달관한 노인의 여유에 아이의 천진난만함이 동시에 느껴졌다. 특별히 선생이 했기에 더 말맛이 달았다. 시트콤이나 예능에서도 존재감이 드러나는 건 어쩌면 그 ‘게 맛’의 다양한 변주일 듯도 싶다. tvN의 ‘꽃보다 할배’나 ‘윤식당’에선 습자지 같은 투명한 표정에 웃는 모습만 봐도 힐링이 됐다.
“내가 평소에도 말이 많지 않다. 좀 어눌하다. 지금처럼 소주 한잔 들어가야 말이 술술 나온다. 관찰 예능도 사실 일상이 그대로 드러나는 장르여서 익숙지 않지만 부담은 안 느낀다. ‘꽃할배’도 다섯 명이 나오는데, 내가 특별히 더 주접을 떨지도 않지 않나(웃음). ‘윤식당’은 최근엔 좀 마음이 아팠다. 촬영했던 롬복이란 섬에 지진이 났더라고. 어찌 생각하면 내가 아직 죽을 때는 아닌가 싶기도 하고. 허허.”

살면서 크게 절망한 적은 없나.
“1년 정도 작품이 없는 기간이 있었다. 난 몰랐는데 집사람이 그러더라. 돈이 안 들어왔다고. 돈 봉투 꼬박꼬박 갖다 줬다. 돌아보면 난 행운아였다. 성실하게 일했고 일이 끊긴 적이 없었다.”

배우로 사는 게 그렇게 즐거운가.
“즐겁긴. 개똥 같다(웃음). 연금도 없잖나. 하하. 그런데 연금만 없나. 상사도 없다. 내 맘대로 해도 되니 얼마나 좋나. 이래라저래라 지시하는 놈 없이 우리끼리 합을 맞추고 상의하니 얼마나 좋냐고. 내가 대단히 도움 주는 일을 한 적도 없는데 사랑받으니 또 얼마나 고마운지. 할망구하고 먹고살게 해줘서 고맙고 개런티 받으면 또 즐겁다.”

언제 가장 행복했나.
“지금. 매번 지금이 행복하다. 지금이 제일 좋다. 나이 들수록 더 그렇다. 이 순간에 집중해서 살려고 한다. 내가 가진 최선을 다하면 그게 쌓여 내 역사가 된다. 돈이 있다고 여유가 있다고 되는 게 아니다. 그렇게 생각하려고 노력하는 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