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의 페어레인은 미국차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사진 황욱익
포드의 페어레인은 미국차의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사진 황욱익
대륙 기질을 잘 살린 머슬카 디자인. 사진 황욱익
대륙 기질을 잘 살린 머슬카 디자인. 사진 황욱익

대배기량과 큰 차체, 넉넉한 토크는 미국 차를 상징하는 키워드다. 그중에서도 광활한 대륙, 대규모 내수 시장이라는 배경을 가진 미국 차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넉넉한 공간 활용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 부분이 합리성을 따지는 유럽 차와 큰 차이점이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지금 미국 차들이 국제 시장에서 받는 대접은 생각보다 좋지 않다.

물론 가장 미국적인 자동차로 꼽히는 포드 GT나 쉐보레 콜벳 등은 명차를 논할 때 빠지지 않는 모델이다. 하지만 미국 차 전반에 대한 대중의 평가는 극과 극을 달린다. 특히 미국 차에 대한 대표적인 부정적 인식 중 하나는 ‘방만함’인데, 미국 자동차 역사를 살펴보면 그렇게만 치부하기에는 아까운 부분이 많다.

자동차 종주국이 유럽이라고는 하지만 자동차 산업의 규모가 빠르게 커지면서 대중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은 곳은 바로 미국이다. 1900년대 초반 이미 미국에서는 마차를 대신한 이동 수단으로 자동차가 등장해 거리를 달리고 있었다. 특히 헨리 포드 포드 창립자는 ‘노동자가 살 수 있는 자동차’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회사와 자동차 산업 규모를 키웠다.

풍요로운 물자와 광활한 대륙, 노동력이 가득했던 미국의 자동차 시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역사가 길고 다양하다. 대량 생산 체제와 소량 주문 제작 방식이 공존하는 데다, 유럽에 비해 자동차의 종류도 훨씬 다양하고 대중적이며, 자동차 역사에 굵은 족적을 남긴 실험적인 차들도 많았다.

1920년대는 그야말로 미국 자동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던 시기다. 당시 수공업에 의존했던 대부분의 유럽 메이커가 귀족과 부호들을 위한 소량 생산 체제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미국 자동차 회사들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과 대량 생산 체제 아래 시장을 넓혀 갔다. 포드가 최초로 자동차 생산에 적용한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은 5분에 한 대씩 완성품을 만들어 냈다. 이후 시트로엥과 르노도 포드의 시스템을 도입했다.

포드와 쉐보레를 필두로 대량 생산이 자리 잡으면서 자동차 가격이 낮아졌던 당시, 다른 한편에서는 뒤센버그나 패커드 같은 신흥 부호들을 위한 소량 주문 제작 방식도 공존하고 있었다. 내연기관뿐이 아니었다. 유럽에서는 사장된 증기차가 미국 시장에서는 점유율이 70%에 달했던 적도 있었다. 물론 이후 효율이 떨어지고 안정성도 좋지 않았기 때문에 내연기관에 밀리게 되긴 했지만 말이다. 그만큼 미국 자동차 시장에는 상상 이상의 다양함이 공존했다.

1970년대까지는 미국의 자동차 산업이 디자인, 기계적 구조 등 전방위에 걸쳐 끊임없이 도전했던 기간으로 정리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자동변속기의 대중화다. 미국은 이미 1950년대 일부 스포츠카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자동변속기를 기본으로 사용했다. 아직 유럽 일부 국가의 수동변속기 점유율이 90% 이상인 것을 생각하면 큰 차이가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상이용사들을 위해 고안된 자동변속기는 이후 폭발적으로 시장 점유율이 높아졌고, 현재 미국 차 95% 이상이 자동변속기를 쓰고 있다.


1920년대 미국 거리는 이런 분위기였다. 사진 황욱익
1920년대 미국 거리는 이런 분위기였다. 사진 황욱익
아메리칸 럭셔리의 상징 캐딜락 엘도라도. 사진 황욱익
아메리칸 럭셔리의 상징 캐딜락 엘도라도. 사진 황욱익

과감한 꼬리, 우락부락한 근육질을 가진 미국 클래식카

아쉽게도 미국 클래식카 중에 국제무대에서 인정받는 모델은 적다.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대량 생산. 클래식카의 가치를 논할 때 가장 중요한 희소가치 측면에서 미국 차들은 어쩔 수 없이 손해를 보기 때문이다. 쉐보레 같은 회사들이 이미 1920년대에 단일 차종으로 연간 20만 대 이상 만들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미국 차는 그야말로 ‘찍어 낸다’는 표현이 정확하다. 반면 유럽의 부가티나 알파 로메오 특별 모델의 최종 생산 대수가 많아야 20대 남짓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반면 1950년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미국 차의 과감한 디자인은 일본 차는 물론 유럽 영향권에 있던 호주 차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미국 차 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디자인은 단연 ‘테일 핀’이다. 길게 늘인 뒷부분에다, 항공기 날개에서 영감받은 과격하고 과감한 마무리는 선 중심으로 오밀조밀한 특징을 가진 유럽 차와 맥락 자체가 다르다.

엘비스 프레슬리가 사랑하고 메릴린 먼로가 즐겨 탔으며, 케네디가 애용했던 1950년대 차를 보면 테일 핀 디자인을 적용한 차들이 많다. 덩어리에서 시작해 큼직하게 깎아내면서 외관을 과감하게 다듬고 넓은 실내 공간에 자리 잡은 푹신한 벤치, 강력한 V8 엔진까지 갖추면 그야말로 전형적인 미국 차의 특성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거대한 아름다움을 상징하던 테일 핀 디자인의 미국 차들은 안타깝게도 친환경과 경제성에 밀려 자취를 감췄다.

미국 차 하면 OHV V8 엔진을 장착한 핫로드도 빼놓을 수 없다. 핫로드는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미국 자동차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 핫로드의 시작은 대공황 이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대공황 당시 시행된 금주법 단속을 피하기 위한 고성능 주류 운반 자동차였다. 가장 큰 특징은 개조, 즉 튜닝을 통해 속도를 높였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때를 미국 자동차 튜닝의 시발점으로 보기도 한다. 이후 모터스포츠가 자리 잡으면서 핫로드는 드래그 레이싱(400m 단거리 경주) 경기에 적합한 차를 의미하게 됐다.

머슬카 역시 미국 차를 대표하는 아이콘 중의 하나. V8 엔진에 우락부락한 근육질의 디자인을 가진 미국산 스포츠카를 뜻하는 머슬카는 미국뿐 아니라 자동차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 인기 있는 차종이다. 플리머스, 포드, 쉐보레, 폰티악, 닷지, 뷰익, 올즈모빌…. 머슬카의 황금기라 불리던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말까지, 미국 자동차 회사들은 모두 자사 대표 머슬카를 한 대씩 갖고 있었다.

지금 미국 차는 유럽 차의 고급스러움에 치이고 일본 차의 경제성에 치이고 한국 차의 가격에 치이지만 그 나름대로의 멋과 낭만을 갖고 있다. 넉넉한 토크와 낮은 회전수, 쉬운 유지보수, 과감하고도 멋들어진 디자인 등 미국 대륙에서는 전통적인 미국 차가 가장 잘 어울린다. 아메리칸 럭셔리의 상징인 캐딜락이 대중차 메이커인 BMW를 따라가기 바쁘게 된 지금의 현실을 상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미국 차들이 다운사이징과 친환경 시류에 휩쓸리고 판매량 감소와 브랜드 폐지 등에 맞닥뜨리게 된 지금, 과거의 멋들어진 차들을 볼 수 없지만 크고, 아름답고, 대륙 기질이 가득한 미국 차가 가진 낭만은 자동차 올드팬에게 아련한 향수처럼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