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0월10일 세종시 연서면 세종농업기술센터에 마련된 ‘창조마을’ 시범사업 전시장을 방문, 채소 자동접목 로봇의 시연을 지켜보고 있다. 수박이나 토마토 등 과채류는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접목시킨 묘(苗)를 재배한다. 하지만 어린 묘목을 서..
121호_2014년 11월 01일서경대는 북악산이 한눈에 바라보이는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삼각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학교의 위치가 높아 교내 어디에서나 주변 전경을 내려다 볼 수 있다. 취재를 위해 학교를 세 번 방문했는데 그때마다 다른 분위기로 다가왔다. 교내 곳곳에 설치된 분수와 잘 가꾸어..
120호_2014년 10월 01일지난 2008년 서경대학교 총장으로 부임한 최영철 총장은 두 번을 연임하며 9년째 총장직을 맡고 있다. 최 총장의 임기 동안 서경대는 꾸준히 성장을 거듭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거기엔 최 총장의 대학 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실행이 작용했다. “4년제 대학을..
120호_2014년 10월 01일농촌진흥청이 과수농가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탑 프루트사업은 2006년 시작됐다. 탑 프루트(Top Fruit)는 농촌진흥청이 정한 크기·당도·모양·안전성 등을 통과한 ‘최고 품질의 과일’을 뜻한다. 시범농가에서 기준에 맞게 생산한 과일에는 ‘탑 프루트’..
120호_2014년 10월 01일- 제주 문섬 주변 해역은 수중경관의 보전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02년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사진은 문섬 주변 해역의 산호 군락지. 이번 여름 동해 바다로 휴가를 떠나 물놀이를 즐긴 김민준씨는 시원하게 얼린 음료수를 벌컥 벌컥 들이마시고는 무심코 바다를..
119호_2014년 09월 01일2004년 초 호주의 해양 과학자들은 극지방에서는 처음으로 남극의 해양 퇴적물에서 환경 호르몬으로 알려진 유기주석 함유물(TBT)을 검출했다. 유기주석은 선박에 조개 등이 달라붙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선체 도료에 넣은 유독 물질이다. 이는 남극에서 사용하는 쇄빙선..
119호_2014년 09월 01일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에서는 외래 해양 생물종들의 생태계 파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2008년 6월부터 2013년 1월까지 국내 10개 주요 항구(구룡포, 울산, 부산, 통영, 광양, 제주, 서귀포, 목포, 군산, 인천)와 그 인근의 9개 항구 등 총 19개 항..
119호_2014년 09월 01일‘해양 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해양보호구역의 지정 요건은 다음과 같다. 생물 다양성이 풍부해 보전 및 학술적 연구 가치가 있는 해역, 산호초·해초 등 해저 경관 및 해양 경관이 수려해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는 해역, 해양의 기초 생산력이 ..
119호_2014년 09월 01일생태 도시를 지향하는 전남 순천시에 걸맞는 강소농(强小農)이 있다. 바로 ‘물과 빛의 사랑 공동체 영농조합’ 대표 노대성(52) 씨다. 그는 2005년 귀농했지만 원래 농사와는 인연이 깊었다. 어려운 가정 형편 탓에 농업고등학교를 나왔고, 종계 회사에 10년을 다녔다...
119호_2014년 09월 01일‘NA1’이라는 이름을 가진 1600m 깊이의 바닷속에서 사는 심해저 고세균(古細菌)이 있다. NA1은 70~90℃에 달하는 고온의 극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일반 세균과는 구조도 기능도 여러모로 다르다. 이 고세균이 기특한 이유가 있다. NA1은 일산화탄소를 ..
118호_2014년 08월 0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