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대기근을 다룬 영화 ‘블랙 47’의 한 장면. 1847년 대기근으로 아일랜드 인구의 10% 이상이 아사했다. 사진 IMDB
아일랜드 대기근을 다룬 영화 ‘블랙 47’의 한 장면. 1847년 대기근으로 아일랜드 인구의 10% 이상이 아사했다. 사진 IMDB

인구 488만 명의 아일랜드는 북대서양에 있는 작은 섬나라지만 경제적으로 무시 못 할 저력 있는 나라다. 어려운 순간이 닥칠 때마다 강력한 구조 개혁, 긴축 정책으로 결단력 있게 행동해 위기를 돌파할 수 있었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아일랜드 경제는 바닥권을 맴도는 유럽 최빈국이었다. 800년간에 걸친 식민지 경험과 농업에 기댄 낙후한 경제 구조 탓이었다. 그러다 1973년 유럽경제공동체(EEC·유럽연합의 전신) 가입을 계기로 아일랜드 정치권은 경제를 지식 기반 구조로 바꾸는 시장 개방, 투자 유치 작업에 착수한다. 이후 1990년대 중반부터 10여 년 가까이 연평균 7%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보였다. ‘켈틱 타이거(Celtic Tiger·켈트족 호랑이라는 뜻으로 ‘아시아의 네 마리 호랑이’에 빗댄 말)’라는 별명도 이때 얻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로 경제가 무너졌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국내 생산 기반이 취약한 탓에 순식간에 경제가 무너졌고, 2010년 아일랜드는 IMF(국제통화기금), 유럽중앙은행(ECB), 유럽연합(EU)으로부터 850억유로(약 109조원)의 구제금융을 받는 처지가 됐다. 그러나 정치권과 경제계가 다시 강력한 긴축 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