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옥고려대 수학교육학, 미국 뉴욕대 응용수학학 박사, 제7대 한국산업응용수학회 회장, 현 건국대 수학과 교수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정은옥
고려대 수학교육학, 미국 뉴욕대 응용수학학 박사, 제7대 한국산업응용수학회 회장, 현 건국대 수학과 교수 /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질병관리본부의 확진자 통계 확인했어?”

“바이러스 노출군 데이터를 바꿔보겠습니다.”

“두 그래프 모양이 다른 이유는 뭘까?”

3월 17일 오후 서울 화양동 건국대 과학관 3층. 이 대학 수학과 정은옥 교수 연구실은 토론 열기로 뜨거웠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침체된 캠퍼스와는 분위기가 180도 달랐다.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연구원들의 손이 정 교수 지시에 따라 바삐 움직였다. 연구실 한쪽 테이블에 놓인 빔프로젝터는 복잡한 수식이 적힌 문서를 하얀 벽에 쏘고 있었다. “말로는 설명이 힘들 것 같아서 참고 자료를 띄워놓고 (취재진을) 기다렸어요.” 정 교수가 명함을 건네며 말했다.

정 교수는 한국을 대표하는 ‘생물수학(biomathematics)’ 전문가다. 미국 뉴욕대에서 응용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2002년부터 건국대 교수로 일하고 있다. 그는 산업수학의 여러 갈래 중에서도 감염병의 전파 양상 등을 분석하는 생물수학에 줄곧 집중해 왔다. 감염병 전파 수리 모델링 기법을 활용해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의 확산 흐름을 파악했고, 최근에는 연구실의 김소영 박사와 함께 비슷한 방식으로 코로나19가 잦아드는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