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시에 올라와 있는 NFT 작품들. 왼쪽부터 더 휴머노이드·BAYC·크리처 월드·쿨캣·좀비 토아즈·디 오피셜 서리얼즈·크립토펑크 컬렉션. 사진 오픈시
오픈시에 올라와 있는 NFT 작품들. 왼쪽부터 더 휴머노이드·BAYC·크리처 월드·쿨캣·좀비 토아즈·디 오피셜 서리얼즈·크립토펑크 컬렉션. 사진 오픈시

인터넷 정보망인 ‘월드와이드웹(WWW)’ 창시자이자 영국의 컴퓨터 과학자 팀 버너스리는 올해 6월 23일 30년 된 웹 소스 코드를 경매에 부쳐 세상을 놀라게 했다. 검은 컴퓨터 화면에 1만여 줄의 코드를 입력하는 모습을 촬영한 30분짜리 동영상과 소스 원본파일, 디지털 포스터, 버너스리의 편지를 담은 NFT(Non Fungible Token·대체 불가 토큰)로 판매한다고 나선 것. ‘이것이 모든 것을 바꿨다(This Changes Everything)’라는 제목의 NFT는 일주일간의 경매 후 540만달러(약 65억원)에 팔렸다. 일각에서 웹을 팔았다는 비판이 일자 버너스리는 “웹이나 소스 코드를 판매한 게 아니다”라며 “NFT는 웹의 근원을 담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했다.

국내에서는 간송미술관이 국보(國寶)를 NFT화해 이목을 끌었다. 간송미술관은 지난 7월 자금난 극복을 위해 훈민정음해례본을 100개의 NFT로 만들어 판매했다. NFT 1개당 가격이 1억원에 달했지만 불티나게 팔렸고 간송미술관은 수익금을 운영 자금, 문화재 연구 기금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문화계에서는 문화유산을 NFT화하는 것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기도 하는데,..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