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의심!’ 2025년 어느 겨울밤, 극심한 근육통과 오한을 호소한 이루다(가명)씨는 패치 형태의 체온계를 겨드랑이에 부착한 후 원격의료 애플리케이션(앱)에 결과를 업로드했다. 그러자 인공지능(AI) 주치의가 나타나 진단을 내리면서 1초 만에 가까운 약국과 배달라이더를 매칭해 약 배송 준비를 마쳤다. 최종 컨펌은 하루 4시간씩 교대 근무하는 수백 명의 인간 의사가 소속된 원격지휘본부에서 확정했다. 이씨는 집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단 10분 만에 약을 구할 수 있었다. 개인 맞춤형 원격의료를 구현할 미래의 ‘AI 주치의’ 모습이다.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을 겪으며 전 세계가 원격의료의 필요성을 실감하고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과 일본은 1990년대부터 원격의료가 도입된 반면 국내에서는 2020년 한시적 비대면 진료 허용이 이뤄지고 나서야 원격 의료 분야 사업의 물꼬가 터졌다. 국내에서 팬데믹 기간 비대면진료 이용자는 올 3월 말 누계로 443만 명에 달했다. 원격의료 스타트업만 20여 곳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일상회복 정책으로 원격의료 전망이 불확실해진 상황에서 윤석열 정부가 5월 10일 출범했다. 새 정부는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