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0일 조선비즈가 개최한 ‘2022 헬스케어이노베이션 포럼’에서 새로운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바이오·제약 산업의 기술안보 전략을 논의 중인 전문가들. 왼쪽부터 박성준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초빙교수, 정태성 에이치앤컨설팅 대표, 김정아 애스톤사이언스 연구개발(R&D)·지식재산권(IP) 관리 이사, 김성중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고준성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사진 조선비즈
11월 10일 조선비즈가 개최한 ‘2022 헬스케어이노베이션 포럼’에서 새로운 통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바이오·제약 산업의 기술안보 전략을 논의 중인 전문가들. 왼쪽부터 박성준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초빙교수, 정태성 에이치앤컨설팅 대표, 김정아 애스톤사이언스 연구개발(R&D)·지식재산권(IP) 관리 이사, 김성중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고준성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사진 조선비즈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의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산·학·연과 법조계로 구성된 통상 전문가 5인이 한자리에 모였다. 미국과 중국이 기술 패권을 쥐기 위해 벌이는 통상 분쟁은 날로 악화하고 있다. 반도체로부터 시작된 양측의 ‘기 싸움’은 배터리를 넘어 제약·바이오 산업으로 확전하기에 이르렀다. 세계 무역 질서를 책임져왔던 세계무역기구(WTO), 자유무역협정(FTA)도 무용지물이다. 이른바 ‘신기술 냉전’이다.

당장 지난 9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제약·바이오에서도 미국이 국가 안보를 내세워 중국을 견제하겠다고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1월 10일 조선비즈가 개최한 ‘2022 헬스케어이노베이션 포럼’에서 진행된 좌담회 좌장은 박성준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초빙교수가 맡았다. 정태성 에이치앤컨설팅 대표, 김정아 애스톤사이언스 연구개발(R&D)·지식재산권(IP) 관리 이사, 김성중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고준성 산업연구원(KIET)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바이오·제약 산업의 미·중 갈등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좌담회에..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