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9월 한양대 올림픽체육관에서 열렸던 한양대 취업 박람회. 사진 조선일보 DB
2018년 9월 한양대 올림픽체육관에서 열렸던 한양대 취업 박람회. 사진 조선일보 DB

서울에 있는 대학의 영문학과를 졸업한 26세 김민지(가명·여)씨. 이른바 스카이(서울대·고려대·연세대)대로 불리는 대학을 졸업한 이후 1년간 취업 정보 사이트에 뜬 채용공고에 수십 개의 지원서를 써냈지만, 성과가 없어 쉬고 있다. 비자발적 니트족(NEET, 교육·직업훈련을 안 받는 무직 청년)이 된 것이다. 김씨는 “남들이 부러워하는 명문대를 나왔지만, 막상 취업 시장에 뛰어드니 면접을 제안한 곳은 외국계 기업 단 한 곳뿐”이라며 “이력서에 경력이 비는 것도 불안해 취업을 포기하고 중국 유학을 준비하려 한다”고 하소연했다.

김씨는 이른바 ‘고학력 니트족’이다.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은 청년층의 일자리 환경에 직격탄을 날렸다. 특히 고졸 이하보다 전문대졸 이상 청년의 타격이 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3월 보고서에서 통계청 자료를 통해 추정한 결과, 지난해 15~29세 니트족이 처음으로 40만 명을 넘었고 이 가운데 전문대졸 이상의 니트족을 18만 명으로 파악했다. 전년보다 38% 늘어난 수치다. 전문대졸 이상 니트족은 2016년만 하더라도 9만 명에 불과했지만, 4년 만에 두 배로 늘었다. 같은 기간 고졸 니트족은 50% 늘..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