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IMF 외환위기가 터진 후 부동산 가격이 폭락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했을 때도 역시 집값이 크게 떨어졌다. 폭락한 것은 같지만, 1997년과 2008년에는 큰 차이점이 있다. 1997년은 폭락 후 급반등해서 3년 만에 원래 가격을 회복하고 오름세를 이어갔지만 2008년은 아직까지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도대체 1997년과 2008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상당수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를 ‘인구’에서 찾고 있다. 즉, 1997년에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의 주택 수요(구매력)로 바로 폭락에 대한 반등이 이루어졌지만, 2008년에는 바로 이런 수요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지난 2008년부터 퍼지기 시작한 부동산 대폭락설이 3년이 지난 시점인 최근에 설득력을 얻어가고 있다. 게다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상처가 완전히 아물기도 전 올해 미국·유럽발 제2차 글로벌 금융위기가 찾아왔다. 주변 경제환경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셈이다. 일각에서는 집값 대세 하락이 시작됐다고 본다. 때문에 재산이 부동산에 올인돼 있는 대다수 국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과연 수십 년간 한국에서 진리처럼 여겨온 ‘부동산 불패신화’라는 패러다임이 바뀔 때가 된 것일까. 이런 변화기에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 것일까. <이코노미플러스>는 부동산 가격이 장기적으로 어떻게 움직일지 살펴보고, 앞으로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지 진단해본다. 또한 일본의 부동산 폭락이 우리에게 던지는 시사점도 알아본다.

  

부동산 대폭락설 ‘불편한 진실’

1997년 vs 2008년 집값 하락 회복 수준 다르다

      

 1997년  폭락 후 3년 만에 회복 

   

 2008년  수요 없어 회복 더뎌

1997년 IMF 외환위기가 터진 후 부동산 가격이 폭락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발했을 때도 역시 집값이 크게 떨어졌..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