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을 가진 가난한 사람들’이란 뜻의 신조어 ‘하우스푸어’가 우리나라에서 일반명사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하우스푸어는 빚을 내서 집을 산 뒤 이자를 내느라 생활비를 극도로 아끼면서 가난한 삶을 사는 사람을 말한다. 이 하우스푸어라는 신조어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운, 우리나라 고유의 ‘부동산 불패신화’가 만든 슬픈 자화상이다. 한없이 급등하는 집을 소유하려다가 그만 ‘덫’에 걸린 것이다. 부동산 대폭락론이 현실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하우스푸어의 실상, 그리고 이로부터 탈출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부동산 불패신화’가 만든 하우스푸어

2005년 뒤늦게 매입 나섰다 덫에 빠져

 

대출이자 감당 안 되면 바로 손 털어야

- 지난 2005년 6월 28일 부산에서 분양한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를 청약하기 위해 모델하우스에 많은 인파가 몰렸다.
- 지난 2005년 6월 28일 부산에서 분양한 대기업 브랜드 아파트를 청약하기 위해 모델하우스에 많은 인파가 몰렸다.

사례 1 서울 응암동에 살던 박선필씨(50·가명)는 요즘 속이 타들어간다. 그는 응암동 집이 재개발에 들어가면서 이주비를 받아 다른 지역에서 전세를 살고 있다. 박씨가 분양가 4억2000여만원인 109㎡ 아파트에 2011년 12월 입주하기 위해 내야 되는 부담금은 2억6000여만원이다. 그는 분기마다 2500만원씩 1억원을 대출받아 부담금(중도금)으로 냈다. 그러나 아직까지 1억3500여만원을 더 내야 한다. 분기마다 빚이 계단식으로 증가해 이자비용도 7만원대에서 눈덩이처럼 불어나 최근에는 40만원대에 이른다. 아파트경비원인 그는 월급에서 이자를 내고 나면 생활비로 쓸 수 있는 돈이 별로 없다.



사례 2 경기도 고양시에 사는 김인희씨(40·가명)는 3년 전인..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