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미·중 무역갈등으로 중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베트남과 멕시코 등이 ‘넥스트 차이나’로 거론되고 있다.
코로나19와 미·중 무역갈등으로 중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이 흔들리면서 베트남과 멕시코 등이 ‘넥스트 차이나’로 거론되고 있다.

삼성전자와 대만 폭스콘, 인도 라바 등 16개 사가 지난해 10월 인도에서의 스마트폰 공장 신⋅증설을 조건으로 향후 5년간 총 66억달러(약 7조4500억원)의 인센티브를 받을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스마트폰 생산 대국인 인도 정부가 2025년까지 연간 10억 대로 생산 능력을 확충하기 위해 작년 초 도입한 생산 연계 인센티브 제도의 첫 수혜 기업들이다.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 노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미·중 갈등 및 코로나19로 촉발된 글로벌 공급망 구조 변화 움직임에 따라 미국을 중심으로 인도로의 생산 기지 이전이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한국은행)”는 관측을 뒷받침하는 사례다.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스마트폰을 만들던 톈진 공장과 후이저우 공장을 2018년, 2019년 폐쇄하고 인도와 베트남 시설 확충에 나선 건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거점인 중국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은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성장해왔다. 2010년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 제조 대국, 2013년엔 세계 최대 무역 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은 전 세계 제조업이 만들어내는 부가 가치의 28.7%(2019년 기준)를 책임지고 있다. 중국 중심..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