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은 전통적으로 국가의 이슈다. 국가는 인권을 침해하는 가장 강력한 주체인 동시에 인권 보호의 의무를 가진 존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엔 사정이 좀 달라졌다. 기업의 힘과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기업이 인권을 침해하는 일이 잦아졌다. 이에 세계의 지도자들은 대책 마련에 나섰다. UN이 대표적이다. 코피 아난 전 사무총장이 기업 인권 문제해결을 외치기 시작했고, 반기문 사무총장이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경영계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강해지고 있다. 자발적인 인권 기준과 원칙을 정해 철저한 준수를 다짐하고 있다. 인권을 지키지 않는 기업과 거래를 끊기도 한다. 환경과 마찬가지로 인권은 또 다른 ‘무역장벽’이 될 가능성마저 있다. 인권이 기업 경영의 새로운 화두로 등장했다. 변형주 기자 hjb@chosun.com

환경 버금가는 핫이슈,

신종 무역장벽 될 가능성 농후

1995년 11월10일. 이 날 나이지리아 군부정권은 4명의 사형집행을 단행했다. 이 일로 국제사회는 발칵 뒤집혔다. 나이지리아 정부에 강력한 항의의 메시지를 보내고 다양한 제재 조치를 취했다. 이 날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나이지리아의 소수민족인 오고니족의 지도자 ‘켄 사로 위와’는 다국적기업의 인권침해에 희생된 ‘순교자’가 됐다.사정은 이렇다. 오고니족이 살고 있는 지역엔 유전이 있다. 이를 다국적 석유재벌인 쉘이 1958년부터 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었는데 환경 피해가 극심했다. 오고니족이 ‘쉘’을 ‘헬(Hell)’로 불렀을 정도다. 마침내 1993년 오고니족은 켄 사로 위와를 중심으로 대규모 저항을 시도했다. 나이지리아 군부정권은 군대를 동원해 강경진압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750명이 죽고 3만 명이 다쳤다. 그리고 나이지리아 군부의 뒤에는 ‘쉘’이 있었다. 이 사건 이후 쉘은 오고니지역을 떠나야 했다.오고니 사건은 서구사회에 강한 충격을 줬다. 자신들의 기업이 해외에 나가 도대체 무슨 짓을 저지르고..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