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나뎃 널티(Bernadette Nulty)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 9월 24일 아일랜드 더블린에 있는 아일랜드 투자발전청(IDA)에서 만났다. 사진 이민아 기자
버나뎃 널티(Bernadette Nulty) 아시아·태평양지역 총괄. 9월 24일 아일랜드 더블린에 있는 아일랜드 투자발전청(IDA)에서 만났다. 사진 이민아 기자

2019년 아일랜드는 유럽연합(EU) 내 생산성 1위 국가 자리를 룩셈부르크와 다투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만 해도 글로벌 금융 위기로 구제금융을 받는 나라였다. 당시 유로존 금융위기국(PIIGS)은 포르투갈·이탈리아·아일랜드·그리스·스페인 등 5개국이었다. 이들 가운데 아일랜드는 2013년 12월 가장 먼저 구제금융을 졸업했다.

아일랜드의 눈부신 경제 회복 비결은 다국적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이었다. 아일랜드 정부는 그중에서도 정보기술(IT), 생명과학(제약, 바이오, 의료 기기) 분야 기업을 적극 유치했다. 이 분야의 기업이 높은 부가가치를 낼 수 있고, 그것이 일자리로 직결된다고 봤기 때문이었다. 특히 생명과학 분야의 다국적 기업을 많이 유치했다. 현재 아일랜드 내 제약·바이오 기업 수는 75개다. 세계 제약·바이오 상위 10개 회사가 전부 아일랜드에 지사나 생산 시설을 두고 있다. 의료 기기 분야에서는 상위 15개 회사 중 14개가 아일랜드에 진출해 있다.

외국 기업의 아일랜드 유치는 아일랜드 투자발전청(IDA)이 맡고 있다. 1949년 설립된 정부 기관이다. IDA는 ‘우리나라는 기업하기 좋다’는 식의 구호성 홍보를 하지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