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약을 탄 자원봉사자가 이집트 나일강을 떠다니는 플라스틱 용기들을 수거하고 있다. 사진 AFP연합
카약을 탄 자원봉사자가 이집트 나일강을 떠다니는 플라스틱 용기들을 수거하고 있다. 사진 AFP연합

2018년 1월 1일 중국이 폐지와 폐플라스틱 등을 포함한 고체 쓰레기 폐기물 24종의 수입을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환경 오염을 막고 자국민의 보건 수준을 향상하겠다는 이유에서였다. 전 세계 폐플라스틱 수입량의 절반을 차지하며 떼돈을 벌던 세계 최대 쓰레기 수입국조차도 무너지는 환경 문제를 더는 두고 볼 수 없었다. 중국 덕에 ‘불편한 진실’을 외면할 수 있었던 쓰레기 수출국들은 대혼란에 빠졌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 중단 선언이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말한다. 돈을 주고 누군가에게 처리를 부탁하는 구시대적 시스템에서 벗어날 때가 왔다는 것이다. 각 국가는 이런 위기감을 극복하기 위해 플라스틱 억제 정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 관련 규제 정책 도입에 가장 적극적인 건 유럽 국가들이다. 유럽연합(EU)은 2014년 11월 각국의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량을 4분의 3 수준으로 줄이는 데 합의했고, 2015년 4월 비닐봉지 금지 법률을 개정했다. 이 법안에는 2018년까지 일회용 비닐봉지를 유료화하거나 2019년까지 1인당 연간 90개 또는 2025년까지 40개로 제한한다는 목표가 담겼다.

이어 EU는 2018년 ..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