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배서강대 경제학과, 미국 노던콜로라도대 스포츠경영학 박사, 세인트리오대 스포츠 비즈니스학과 교수, 곤자가대 스포츠 경영대학원 교수,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이사 / 박성배 한양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가 7월 16일 ‘이코노미조선’과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의 레포츠 관련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박성배
서강대 경제학과, 미국 노던콜로라도대 스포츠경영학 박사, 세인트리오대 스포츠 비즈니스학과 교수, 곤자가대 스포츠 경영대학원 교수,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이사 / 박성배 한양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가 7월 16일 ‘이코노미조선’과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의 레포츠 관련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 채승우 객원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완전 정복의 날이 오면 지금의 레포츠 열기는 한풀 꺾일까. 잘은 몰라도 늘어난 선택지에 행복해진 이들이 국내 골프 대신 해외여행을 떠나고, 청계산 대신 노래방에 가는 순간은 분명 올 것이다. 하지만 지난 수년간 레포츠 인구가 증가해왔다는 점에서 레포츠 산업의 성장 흐름 자체는 코로나19 사태와 별개로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기획을 마무리하는 시점에 이런 질문을 던져볼 수 있겠다.

“팬데믹(pandemic·감염병 대유행)이 달군 레포츠 특수를 쭉 이어 가려면 레포츠 관련 정책은 앞으로 어떤 철학과 방향성을 지녀야 할까.”

이 물음의 해답을 얻기 위해 ‘이코노미조선’은 7월 16일 스포츠 비즈니스 전문가인 박성배 한양대 스포츠산업학과 교수를 찾아갔다. 박 교수는 공공과 민간 영역의 레포츠 프로그램·시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균형감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또 앞장서서 뭔가를 하려 하지 말고 많은 국민이 원하고 자주 즐기는 레포츠 분야를 조용히 뒤에서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태도를 바꿔야 한다고도 했다.


한 여성 골퍼가 티샷을 하고 있다. 사진 전준범 기자
한 여성 골퍼가 티샷을 하고 있다. 사진 전준범 기자

레포츠 활동으로 코로나19 정국..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