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욱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현 IEEE 햅틱기술위원회 공동의장 / 사진 카이스트
경기욱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현 IEEE 햅틱기술위원회 공동의장 / 사진 카이스트

메타버스(metaverse·현실과 가상이 혼합된 세계) 등이 우리 생활에 영향을 미치면서, 오감을 느끼도록 만들어주는 ‘오감 인터페이스’ 기술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오감 중 시각이나 청각은 기술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됐지만, 촉각은 여전히 부족하다. 인공지능(AI)과 첨단기술이 결합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햅틱(디바이스를 통해 촉각적 경험과 운동감 등 피드백을 느끼게 해주는 기술), 즉 촉각 기술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점차 커질 전망이다.

우선 21세기 최고의 발명품이라 할 수 있는 스마트폰은 생활필수품이 됐다. 흥미로운 점은 스마트폰의 기능은 계속 다양해지고 있지만, 외관은 더 단순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사라진 충전단자는 무선 충전이, 이어폰 연결 단자는 블루투스가, 버튼은 터치스크린이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충전과 블루투스가 본래의 기능을 100% 대체하는 반면 터치스크린은 시각 정보와 ‘터치’는 대체하지만, 버튼을 ‘누르는 느낌’까지는 대신하지 못한다. 촉각적인 느낌의 중요성은 평소 우리가 사용하는 키보드에서 잘 체험하고 있다. 아무리 터치식 키보드, 전자식 키보드가 출시돼도 대부분은 여전히 ‘기계적인 느낌’이 있는 키보드를 선호할 뿐 아니라,..

이코노미조선 멤버십 기사입니다
커버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이코노미조선 기사는
발행일자 기준 차주 월요일 낮 12시에
무료로 공개됩니다.
멤버십 회원이신가요? 로그인